top of page
검색

20220524 [새벽묵상] 비본질에서 본질 찾기 | Finding Essence in Nonessential (고전/1Cor 11:2~16)



11:2 너희가 모든 일에 나를 기억하고 또 내가 너희에게 전하여 준 대로 그 전통을 너희가 지키므로 너희를 칭찬하노라

2 I praise you for remembering me in everything and for holding to the traditions just as I passed them on to you.

11:3 그러나 나는 너희가 알기를 원하노니 각 남자의 머리는 그리스도요 여자의 머리는 남자요 그리스도의 머리는 하나님이시라

3 But I want you to realize that the head of every man is Christ, and the head of the woman is man, and the head of Christ is God.

11:4 무릇 남자로서 머리에 무엇을 쓰고 기도나 예언을 하는 자는 그 머리를 욕되게 하는 것이요

4 Every man who prays or prophesies with his head covered dishonors his head.

11:5 무릇 여자로서 머리에 쓴 것을 벗고 기도나 예언을 하는 자는 그 머리를 욕되게 하는 것이니 이는 머리를 민 것과 다름이 없음이라

5 But every woman who prays or prophesies with her head uncovered dishonors her head—it is the same as having her head shaved.

11:6 만일 여자가 머리를 가리지 않거든 깎을 것이요 만일 깎거나 미는 것이 여자에게 부끄러움이 되거든 가릴지니라

6 For if a woman does not cover her head, she might as well have her hair cut off; but if it is a disgrace for a woman to have her hair cut off or her head shaved, then she should cover her head.

11:7 남자는 하나님의 형상과 영광이니 그 머리를 마땅히 가리지 않거니와 여자는 남자의 영광이니라

7 A man ought not to cover his head, since he is the image and glory of God; but woman is the glory of man.

11:8 남자가 여자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여자가 남자에게서 났으며

8 For man did not come from woman, but woman from man;

11:9 또 남자가 여자를 위하여 지음을 받지 아니하고 여자가 남자를 위하여 지음을 받은 것이니

9 neither was man created for woman, but woman for man.

11:10 그러므로 여자는 천사들로 말미암아 권세 아래에 있는 표를 그 머리 위에 둘지니라

10 It is for this reason that a woman ought to have authority over her own head, because of the angels.

11:11 그러나 주 안에는 남자 없이 여자만 있지 않고 여자 없이 남자만 있지 아니하니라

11 Nevertheless, in the Lord woman is not independent of man, nor is man independent of woman.

11:12 이는 여자가 남자에게서 난 것 같이 남자도 여자로 말미암아 났음이라 그리고 모든 것은 하나님에게서 났느니라

12 For as woman came from man, so also man is born of woman. But everything comes from God.

11:13 너희는 스스로 판단하라 여자가 머리를 가리지 않고 하나님께 기도하는 것이 마땅하냐

13 Judge for yourselves: Is it proper for a woman to pray to God with her head uncovered?

11:14 만일 남자에게 긴 머리가 있으면 자기에게 부끄러움이 되는 것을 본성이 너희에게 가르치지 아니하느냐

14 Does not the very nature of things teach you that if a man has long hair, it is a disgrace to him,

11:15 만일 여자가 긴 머리가 있으면 자기에게 영광이 되나니 긴 머리는 가리는 것을 대신하여 주셨기 때문이니라

15 but that if a woman has long hair, it is her glory? For long hair is given to her as a covering.

11:16 논쟁하려는 생각을 가진 자가 있을지라도 우리에게나 하나님의 모든 교회에는 이런 관례가 없느니라

16 If anyone wants to be contentious about this, we have no other practice—nor do the churches of God.


 

얼마 전 어떤 남성 성도님이 저에게 목사님! 예배 시간에 모자를 쓰고 있어도 됩니까? 라는 질문을 했습니다. 본인이 예배 시간에 모자를 쓰는데, 혹시라도 성경에 입각하여 판단할 때 실례가 되는 것이 아닌지 묻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당연히 됩니다! 얼마든지 쓰세요 말씀드렸습니다.

그 성도님이 오늘 본문을 조금은 알고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 본문과 같은 텍스트를 이해할 때는 반드시 이 천년 전 고대사회 문화를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본문이 다루는 문제가 본질적인 문제인지 아닌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만일 본질적이지 않은 문제라면 오늘날에는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고 적용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질서와 관계 (2~10절)

본문에 등장하는 문제는 교회에서 기도나 예언을 할 때 남자가 머리에 무엇을 쓰거나, 여자가 두건을 벗는 일에 대한 것입니다. 기도나 예언은 결국 공적인 예배행위를 의미합니다.

아마도 영적인 은사를 받은 여성들 가운데 공적으로 예언이나 기도를 하면서 당시 일반적인 풍습인 여성들이 두건을 쓰는 문제에 대해서 급진적인 개혁을 추구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두건을 벗고 예언하거나 기도하는 것입니다.

이 문제에 대해서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에게 신중하게 접근합니다.

먼저 그들이 바울이 전하여 준 말씀과 전통을 잘 따르고 있는 것에 대해서 칭찬을 합니다(2).

사실 고린도 교회가 문제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대부분의 성도들은 착하고 순종적이었습니다.

이는 오늘날 문제 있는 교회도 마찬가지입니다. 대부분의 성도들은 착하고 순수한데, 몇몇 사탄의 하수인 노릇을 하는 사람들에 의해 한 교회의 분위기가 완전히 부정적이고, 편파적으로 변해 버리는 것입니다.

그래서 바울은 너희가 알기를 원하노니(3a)라고 말하며, 이 문제의 여성들에 대한 가르침을 제공합니다.

바울은 세가지 관계를 말합니다. 첫째는 남자와 그리스도의 관계, 둘째는 여자와 남자의 관계, 마지막으로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관계입니다(3).



여기서 바울은 머리κεφαλὴ케팔레 라는 은유를 사용합니다.

그런데 이 단어에 바울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모두 담겨 있습니다. 머리는 일단 권위를 상징합니다. 동시에 머리는 몸과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합니다. 머리 따로 몸 따로는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남자와 여자의 관계나, 남자와 그리스도의 관계나,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관계는 동일합니다.

여자가 남자에게 복종해야 하는 이유는 우월함과 열등함의 문제가 아닙니다.

하나님이 세우신 질서와 관계성의 문제입니다.

이것을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것은 그리스도의 머리가 하나님(3b)이라는 바울의 표현입니다.

하나님과 그리스도는 동일한 분입니다. 하지만 질서라는 부분에서는 성부이신 하나님을 먼저 말합니다.

마찬가지입니다. 남성과 여성은 동일한 존재이지만, 하나님의 질서 안에서 남성이 먼저라는 것입니다.

바울은 이것을 창조의 목적과 순서 속에서 이해하고 설명합니다(8~9).

하나님은 남성을 먼저 지으셨습니다. 그리고 여자가 남자에게서 났습니다.

또 남자를 위하여 여자를 지으셨지, 여자를 위하여 남자를 지은 것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남성과 여성은 하나님이 지으신 질서 안에서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어야 하는 존재들입니다.

요즘 많은 젠더 갈등이 있습니다. 여성단체들은 소위 보이지 않는 유리 천장이 존재한다고 말합니다.

물론 분명히 죄성을 가진 인간이기에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여성을 무시하는 남성이 있습니다.

또한 그러한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끼리끼리 집단적으로 모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가나 사회가 나서서 성차별을 권장하거나, 여성을 차별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거나 그런 것은 절대로 없습니다.

즉, 인간 개개인의 죄성에 의한 인종차별 성차별은 존재해도, 예전에 여성들이나 유색인종을 제도적으로 차별하는 것들은 이미 사라졌습니다. 적어도 문명화된 서구 사회에서는 말입니다.

바울 당시 일반적인 사회 문화는 여성은 얼굴을 가리고 다니는 것입니다. 유대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복음으로 자유함을 얻지만, 일반적인 미풍양속을 급진적으로 파괴하는 것은 지혜롭지 못한 일입니다.



주 안에서 평등 (11~16절)

본문의 문제를 우리 교회로 가져온다면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여성이 머리를 가리는 비본질적인 풍습에 담긴 본질을 찾아내야 합니다. 그 풍습이 추구하는 본질이 무엇이었는지… 그것은 바로 하나님이 세우신 질서와 유기적인 관계성입니다.

바울은 그리스도와 하나님 안에서 모든 것이 평등함을 말합니다. 그런데 이 평등은 모든 면에서 같아지는 것이 아닙니다. 일부 멍청한 현대인들은 남자와 여자가 모든 면에서 같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평등은 존재가치의 평등입니다. 남성이 남성스러워지고, 여성이 여성스러워지는 것이 진짜 평등입니다.

각자에게 주신 고유의 것들을 더욱 아름답게 승화시키는 것입니다.

요즘 미국에 분유가 없어서 난리라고 합니다. 하나님이 가르쳐 주시는 것 같습니다. 얼마나 여성들이 위대한 존재인지를 말입니다. 엄마들은 자신이 먹은 것을 몸 속에서 화학작용을 일으켜 갓난 아기들에게 가장 최적의 영양분의 먹을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공급합니다. 이것이 진정한 여성의 가치입니다.

이것이 본성이 우리에게 가르치는 바입니다(14).



우리는 스스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13a). 무엇이 옳고 그른지 말입니다.

좋은 전통은 유지하면서, 그것이 추구하는 본질이 무엇인지를 찾아야 합니다.

또한 변하는 시대에 맞춰 비본질적인 부분은 바꿀 수 있는 용기도 필요합니다.

예를 들자면 교회에 올 때 양복을 입어야 한다는 본질이 아닙니다.

하지만 가장 품위 있고 좋은 옷을 입고 와서 사랑하는 하나님을 경배하고 싶어 하는 마음은 본질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양복만 입는다고 마음이 자동으로 하나님만 사랑하고 경배하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양복의 외모보다는 하나님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내면의 마음을 추구해야 합니다.

이 마음을 늘 어떻게 유지하고, 표현할 수 있을까요? 성령안에 있는 우리는 스스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13a). 중심을 살피시는 하나님만 바라봅니다. 사랑합니다. 주님!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