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20516 [새벽묵상] 부르신 그대로 | As You Are Called (고전/1Cor 7:25~40)



7:25 처녀에 대하여는 내가 주께 받은 계명이 없으되 주의 자비하심을 받아서 충성스러운 자가 된 내가 의견을 말하노니

25 Now about virgins: I have no command from the Lord, but I give a judgment as one who by the Lord’s mercy is trustworthy.

7:26 내 생각에는 이것이 좋으니 곧 임박한 환난으로 말미암아 사람이 그냥 지내는 것이 좋으니라

26 Because of the present crisis, I think that it is good for a man to remain as he is.

7:27 네가 아내에게 매였느냐 놓이기를 구하지 말며 아내에게서 놓였느냐 아내를 구하지 말라

27 Are you pledged to a woman? Do not seek to be released. Are you free from such a commitment? Do not look for a wife.

7:28 그러나 장가 가도 죄 짓는 것이 아니요 처녀가 시집 가도 죄 짓는 것이 아니로되 이런 이들은 육신에 고난이 있으리니 나는 너희를 아끼노라

28 But if you do marry, you have not sinned; and if a virgin marries, she has not sinned. But those who marry will face many troubles in this life, and I want to spare you this.

7:29 형제들아 내가 이 말을 하노니 때가 단축하여진 고로 이후부터 아내 있는 자들은 없는 자 같이 하며

29 What I mean, brothers and sisters, is that the time is short. From now on those who have wives should live as if they do not;

7:30 우는 자들은 울지 않는 자 같이 하며 기쁜 자 들은 기쁘지 않은 자 같이 하며 매매하는 자들은 없는 자 같이 하며

30 those who mourn, as if they did not; those who are happy, as if they were not; those who buy something, as if it were not theirs to keep;

7:31 세상 물건을 쓰는 자들은 다 쓰지 못하는 자 같이 하라 이 세상의 외형은 지나감이니라

31 those who use the things of the world, as if not engrossed in them. For this world in its present form is passing away.

7:32 너희가 염려 없기를 원하노라 장가 가지 않은 자는 주의 일을 염려하여 어찌하여야 주를 기쁘시게 할까 하되

32 I would like you to be free from concern. An unmarried man is concerned about the Lord’s affairs—how he can please the Lord.

7:33 장가 간 자는 세상 일을 염려하여 어찌하여야 아내를 기쁘게 할까 하여

33 But a married man is concerned about the affairs of this world—how he can please his wife—

7:34 마음이 갈라지며 시집 가지 않은 자와 처녀는 주의 일을 염려하여 몸과 영을 다 거룩하게 하려 하되 시집 간 자는 세상 일을 염려하여 어찌하여야 남편을 기쁘게 할까 하느니라

34 and his interests are divided. An unmarried woman or virgin is concerned about the Lord’s affairs: Her aim is to be devoted to the Lord in both body and spirit. But a married woman is concerned about the affairs of this world—how she can please her husband.

7:35 내가 이것을 말함은 너희의 유익을 위함이요 너희에게 올무를 놓으려 함이 아니니 오직 너희로 하여금 이치에 합당하게 하여 흐트러짐이 없이 주를 섬기게 하려 함이라

35 I am saying this for your own good, not to restrict you, but that you may live in a right way in undivided devotion to the Lord.

7:36 그러므로 만일 누가 자기의 약혼녀에 대한 행동이 합당하지 못한 줄로 생각할 때에 그 약혼녀의 혼기도 지나고 그같이 할 필요가 있거든 원하는 대로 하라 그것은 죄 짓는 것이 아니니 그들로 결혼하게 하라

36 If anyone is worried that he might not be acting honorably toward the virgin he is engaged to, and if his passions are too strong and he feels he ought to marry, he should do as he wants. He is not sinning. They should get married.

7:37 그러나 그가 마음을 정하고 또 부득이한 일도 없고 자기 뜻대로 할 권리가 있어서 그 약혼녀를 그대로 두기로 하여도 잘하는 것이니라

37 But the man who has settled the matter in his own mind, who is under no compulsion but has control over his own will, and who has made up his mind not to marry the virgin—this man also does the right thing.

7:38 그러므로 결혼하는 자도 잘하거니와 결혼하지 아니하는 자는 더 잘하는 것이니라

38 So then, he who marries the virgin does right, but he who does not marry her does better.

7:39 아내가 그 남편이 살아 있는 동안에 매여 있다가 남편이 죽으면 자유로워 자기 뜻대로 시집 갈 것이나 주 안에서만 할 것이니라

39 A woman is bound to her husband as long as he lives. But if her husband dies, she is free to marry anyone she wishes, but he must belong to the Lord.

7:40 그러나 내 뜻에는 그냥 지내는 것이 더욱 복이 있으리로다 나도 또한 하나님의 영을 받은 줄로 생각하노라

40 In my judgment, she is happier if she stays as she is—and I think that I too have the Spirit of God.


 


오늘 본문은 고린도교회의 매우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인 결혼과 부부생활 문제에 대한 총정리입니다.

처녀와 총각의 결혼 문제에 대해서 말하지만 결국 모든 결혼에 대한 입장으로 봐도 무방합니다.

우선은 이 문제에 대한 겸손한 사도의 자세를 볼 수 있습니다. 본질이 아닌 부분에 대한 조심스럽고 겸손한 권면입니다. 바울은 결혼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는 주께 직접 받은 계시가 없기에, 지금부터 말하는 것은 주 안에서 충성된 사도의 개인적인 의견이라고 밝힙니다(25).

이것이 얼마나 겸손하고 성숙한 지도자로서의 자세인지 모르겠습니다.

만일 아무 말없이 바울이 말했다면 사람들은 하나님의 직접적인 계시라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는 사실을 말함으로 결혼 문제에 대한 것은 절대 진리가 아닌 각 개인의 상황과 현실에 따른 자유로운 선택이 가능한 것임을 알게 합니다.

개인적으로 목회자가 설교를 할 때 분명히 사적인 의견이나 목회철학과 하나님의 말씀은 구별하여 말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목회자가 설교할 때 하나님의 말씀은 그냥 전하면 됩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성향, 취향, 사견일 경우에는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이라고 반드시 밝혀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부르신 상황 가운데 Keep going

그의 의견은 임박한 환난(26, 29)이라는 주어진 시대적 환경에 입각한 주장입니다.

결혼은 참으로 귀한 것이고, 아름다운 것이지만 마지막 때에는 결혼 보다는 혼자 지내는 것이 좋다고 말합니다. 이러한 사도의 입장은 반복적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26, 38, 40).

하지만 이미 결혼한 자들이라면, 그들 역시 그 상황 그대로 지내라고 말합니다.

결국 결혼한 자나 아직 결혼하지 않은 자나 그냥 그대로 지내라는 주장입니다(27).

왜냐하면 결혼하는 것이나 결혼하지 않는 것은 죄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바울은 결혼하면 행복 끝! 불행 시작이라고 말합니다(28).

바울은 결혼하는 것이 죄 짓는 것은 아니지만, 결혼하면 육신의 고난이 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바울은 너희를 아껴서 이런 말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바울의 주장을 볼 때, 그는 결혼을 했던 사람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학자들도 그렇게 보는 분들도 많습니다.

어떤 이유인지는 모르지만 혼자가 된 그는 독신의 상황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요즘 우스개소리로 결혼 행진곡에 숨겨진 가사가 속았구나, 속았구나! 라고 합니다.

바울의 권면을 볼 때 그는 결혼 생활이 어떤 것인지 알고 있는 것으로 보는게 타당한 듯합니다.

어쨌든 결혼은 해도 후회하고, 안 해도 후회한다는 이야기는 맞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결혼은 선택의 문제입니다. 자신이 하나님 앞에서 어떻게 부르심(결혼인지 독신이지)을 받았는지 확인하고 그 선택을 지켜 나가면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야 하는 이유는 마지막 때에는 모든 것이 의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인생사에서 가장 중요한 결혼 생활도, 희로애락도, 물건을 사고 파는 것도 의미 없기는 마찬가지입니다. 다 사라져버릴 것입니다.

영적인 것인 아닌 외형적인 것들은 모두 그러합니다(29~31).

사도가 결혼에 대해서 염려하는 것은 결혼은 상대방에게 구속당하는 것이기에 그만큼 운신의 폭이 줄어든다는 사실 때문입니다. 결혼을 했으면, 당연히 아내와 가정, 자녀를 책임지는 것이 옳은 일입니다. 사도는 이것을 마음이 갈라지며(34)라고 표현합니다.



결혼하지 않은 자는 주님의 일에 집중할 수 있는 반면, 결혼한 자는 마음과 시간이 나뉘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가능하면 혼자로 지내면서 하나님을 최선을 다해 섬기는 것이 더 좋다는 의견입니다.

저도 결혼을 하고 아이를 6명을 낳고 보니, 바울의 이 말씀이 무엇인지 너무 잘 이해됩니다.

이 녀석들만 없으면… 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지만, 그 때마다 생각나는 말씀은


소가 없으면 구유는 깨끗하려니와 소의 힘으로 얻는 것이 많으니라(잠 14:4)


입니다. 소가 없으면 얻는 것도 있고, 잃는 것도 있다는 얘기입니다. 무엇을 얻을 것인지, 무엇을 포기할 것인지 선택입니다. 토끼 같은 자식과 여우 같은 아내가 주는 기쁨과 정신 사나움을 선택한 것입니다.



부르심과 실존의 원리

사도의 이 모든 가르침을 정리하면 두 가지 원리, 곧 부르심과 실존으로 축약됩니다.

초혼이건 재혼이건 독신이건 그것이 하나님의 부르심이 확실한가가 중요합니다.

그렇게 하나님의 부르심을 확신하고 선택했다면, 나의 선택을 후회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부르심이 확신할 때 그 부르심은 크리스천의 삶, 즉 실존이 되어야 합니다.

너무 쉽게 결혼하고, 헤어지고, 다시 만나는 것은 하나님이 원하시는 바가 아닙니다.

하지만 그 어떤 결정이든지 부르심을 확신하고 결정했다면, 끝까지 사명감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이 크리스천의 삶입니다.

그래서 사도는 각각 부르심을 받은 그대로 하나님과 함께 거하라(24)라고 말했던 것입니다.



지금 우리의 시대를 말세지말(末世之末), 곧 마지막 때에 마지막이라고 합니다.

개인의 종말이든, 세계적 종말이든 거의 끝이 왔다는 의미입니다.

얼마든지 아름다운 하나님이 주신 삶을 누리고 즐겨야 하지만, 동시에 마지막 때를 사는 우리는 좀 더 다른 사명감이 필요합니다. 예수님을 모르는 사람들에게 단 한명이라도 더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는 것입니다.

마지막 때를 살아가는 크리스천으로서 가정에서부터 내가 섬기는 공동체에 이르기까지 부르심의 사명을 실존으로 이루는 성도가 되기를 바랍니다. 부르신 그대로, 지으신 그대로, 보내신 그곳에서 하나님을 섬기는 우리가 됩시다! 사랑합니다~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