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20414 [새벽묵상] 십자가 지신 유대인의 왕 | King of the Jews crucified (요/Jhn 19:14~22)



19:14 이 날은 유월절의 준비일이요 때는 제육시라 빌라도가 유대인들에게 이르되 보라 너희 왕이로다

14 It was the day of Preparation of the Passover; it was about noon.

“Here is your king,” Pilate said to the Jews.

19:15 그들이 소리 지르되 없이 하소서 없이 하소서 그를 십자가에 못 박게 하소서 빌라도가 이르되 내가 너희 왕을 십자가에 못 박으랴 대제사장들이 대답하되 가이사 외에는 우리에게 왕이 없나이다 하니

15 But they shouted, “Take him away! Take him away! Crucify him!”

“Shall I crucify your king?” Pilate asked.

“We have no king but Caesar,” the chief priests answered.

19:16 이에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도록 그들에게 넘겨 주니라

16 Finally Pilate handed him over to them to be crucified.

So the soldiers took charge of Jesus.

19:17 그들이 예수를 맡으매 예수께서 자기의 십자가를 지시고 해골(히브리 말로 골고다)이라 하는 곳에 나가시니

17 Carrying his own cross, he went out to the place of the Skull (which in Aramaic is called Golgotha).

19:18 그들이 거기서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을새 다른 두 사람도 그와 함께 좌우편에 못 박으니 예수는 가운데 있더라

18 There they crucified him, and with him two others—one on each side and Jesus in the middle.

19:19 빌라도가 패를 써서 십자가 위에 붙이니 나사렛 예수 유대인의 왕이라 기록되었더라

19 Pilate had a notice prepared and fastened to the cross. It read: jesus of nazareth, the king of the jews.

19:20 예수께서 못 박히신 곳이 성에서 가까운 고로 많은 유대인이 이 패를 읽는데 히브리와 로마와 헬라 말로 기록되었더라

20 Many of the Jews read this sign, for the place where Jesus was crucified was near the city, and the sign was written in Aramaic, Latin and Greek.

19:21 유대인의 대제사장들이 빌라도에게 이르되 유대인의 왕이라 쓰지 말고 자칭 유대인의 왕이라 쓰라 하니

21 The chief priests of the Jews protested to Pilate, “Do not write ‘The King of the Jews,’ but that this man claimed to be king of the Jews.”

19:22 빌라도가 대답하되 내가 쓸 것을 썼다 하니라

22 Pilate answered, “What I have written, I have written.”


 


한 아버지는 자신이 100세에 얻은 독자를 하나님께 제물로 바쳐야 하는 기구한 운명에 놓입니다.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네 아들 네 사랑하는 독자 이삭을 데리고 모리아 땅으로 가서

내가 네게 일러 준 한 산 거기서 그를 번제로 드리라 (창 22:2)


바로 이어지는 구절은 아브라함이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창 22:3a) 라고 시작합니다.

이 구절을 읽을 때마다 아브라함님의 믿음은 정말 짱이다!라고 생각했습니다.

나도 저런 믿음이 되어야겠다고 다짐하고 기도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고 어른이 되고, 결혼을 하고 아들을 낳고 보니 그게 그런 것이 아니었습니다.

아브라함은 아침에 일찍 일어난 것이 아니라, 밤새 잠을 못 잤던 것입니다.

밤새 응답 없는 기도를 드리고, 깊은 고민과 생각에 빠진 것입니다. 그리고 결단한 것입니다.

순진하고 순종적인 이삭은 아버지의 명령에 순종하여 자신을 태워버릴 나무를 짊어지고 하나님이 지시한 산에 오릅니다. 불과 칼과 나무는 있었지만 어디에도 제물로 사용할 양은 보이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삭 자신이 제물이기 때문입니다.



많은 학자들은 아브라함과 이삭이 오른 이름 모를 산이 예루살렘이었을 것이라는데 동의합니다.

아브라함과 이삭의 사건처럼 하나님 아버지가 독생자 예수를 온 인류의 제물로 삼는 구속사의 이야기를 잘 담아내는 사건이 있을까요? 자신의 아들을 자신의 손으로 죽이는 애비의 마음을 아브라함만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마음을 아는 유일한 벗이 된 것입니다.

예수님은 이삭처럼 자신을 완전히 태워버릴 나무를 지고 하나님이 지시한 산에 오릅니다.

이것이 오늘 본문의 이야기입니다.


자기 십자가를 지신 예수님 (14~18절)

예수님이 금요일에 십자가에 처형 당하고 일요일에 부활했다는 것에는 복음서 기자들이 모두 일치된 기록을 합니다. 그런데 요한의 이날은 유월절 예비일이요(1a)라는 기록을 보면 이날이 목요일인지 금요일인지 약간 헷갈립니다. 하지만 누가는 예수님이 죽으시고 장사한 시간에 대해서

이날은 예비일이요 안식일이 거의 되었더라(눅 23:54) 라고 정확하게 밝히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안식일(토요일)이 시작되는 금요일 저녁 6시가 거의 다 되어서 예수를 장례 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빌라도가 예수를 유대인들에게 넘겨준 때는 제육시라(1b)는 요한의 기록은 더욱 논란의 여지를 가져옵니다. 왜냐하면 마가는 때가 제삼시가 되어 십자가에 못 박으니라(막 15:25)라고 정확하게 기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요한과 마가의 차이에 대해서 정확한 해법을 제시할 수는 없지만 현재로서 가장 타당한 주장은 마가는 히브리인들이 사용하는 시간법을 사용하였고, 제삼시는 오전 9시라는 것입니다.

만일 히브리식 시간법이면 요한의 육시는 정오 12시가 되어 예수님이 오전 9시에서 오후3시 사이에 십자가에 달리셨다는 기존의 개념과 모순이 됩니다.

그래서 복음주의 학자들은 요한의 제육시를 현재 우리의 시간법과 같은 로마식의 오전 6시로 보는 것입니다. 정리하면 마가는 히브리식 시간법으로 예수님이 오전 9시부터 십자가에 달리셨음을, 요한은 로마식으로 오전 6시에 빌라도가 예수님을 유대인들에게 넘겨 주었다는 결론입니다.



그들이 예수를 맡으매(17)에서 그들은 대제사장과 유대인들입니다.

요한은 십자가형에 대해서는 아주 간결하게 기록합니다. 이미 다른 복음서 기자들이 상세하게 기록한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십자가는 로마의 극악무도한 처형방법으로 강력 범죄자나 로마 제국에 반기를 든 자들에게만 내려지는 형벌입니다. 유대인들이 예수님을 돌로 쳐 죽이지 않고 십자가에 죽이기를 원했던 것은 일반적으로 선지자들은 돌에 맞아 순교한다는 개념하나님께 저주 받는 자마다 나무에 달려 죽는다는 개념(신21:23) 때문입니다. 예수 운동이 자연스럽게 사라지려면 반드시 예수는 하나님께 저주 받아 나무에 달려야 했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그렇게 자기십자가를 지고 골고다로 나갑니다.



유대인의 왕, 온 인류의 왕 (19~22절)

십자가 처형의 일반적인 방법은 죄목을 패에 기록하여 많은 사람들이 보도록 붙입니다.

빌라도는 히브리어(아람), 로마어(라틴), 헬라어(그리스)로 예수님의 죄목을 기록했습니다.

마태는 유대인의 왕 예수(마 27:37), 마가는 유대인의 왕(막 15:26), 누가는 이는 유대인의 왕(눅23:38), 그리고 요한은 본문에 나사렛 예수 유대인의 왕(19)이라고 가장 길게 기록했습니다.

복음서 저자 각자가 받아들인 느낌대로 기록한 것이지만, 유대인의 왕이라는 핵심은 공통적입니다.

빌라도는 유대인들에게 밀려서 예수를 십자가에 내준 것이 많이 분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그는 유대인들이 자칭 유대인의 왕으로 죄패를 바꿔 써줄 것을 요청하지만, 그것을 무시하고 내가 쓸 것을 썼다(27)고 냉정하게 거절합니다.

당시에 패권을 가지고 있던 로마제국의 언어인 라틴어와 국제적으로 통용되던 헬라어, 그리고 유대인들의 히브리어로 죄패가 기록된 것 예수님이 온 인류의 왕이심을 열방에 선포하기 위한 하나님의 섭리입니다. 하나님은 연약한 인간인 빌라도를 통해서도 예수가 온 세계의 왕이심을 선포한 것입니다.

이렇게 이 패는 온 인류에게 보편적으로 임한 구원의 은혜에 대한 상징이 되었습니다.



고난주간이 되면 우리는 아버지 하나님의 마음을 헤아려보아야 합니다.

하나님은 당신이 하실 일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그 마음을 알고 이해해 주는 친구를 찾으십니다.

당신의 독생자가 묵묵히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무에 달려 아버지의 저주를 받고 죽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 저주와 그 십자가는 원래 독생하신 아들 예수의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받아야 할 저주요, 내가 져야 할 십자가입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그 저주와 십자가를 당신의 독생자에게 담당시킨 것입니다. 이 은혜를 어떻게 말로 표현할 수 있을까요?

우리에게 자녀보다 귀한 존재는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당신의 하나 밖에 없는 아들을 우리 위해 눈물로 내주신 것입니다. 그분이 우리에게 요구하지 못할 것이 무엇이 있을까요?

그래서 내가 가장 아끼는 그것을 하나님은 요구하십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전부이길 원하십니다.

하나님 마음을 헤아리는 고난주간이 되기를 원합니다.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