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54 예수를 잡아 끌고 대제사장의 집으로 들어갈새 베드로가 멀찍이 따라가니라
54 Then they seized him and led him away, bringing him into the high priest's house, and Peter was following at a distance.
22:55 사람들이 뜰 가운데 불을 피우고 함께 앉았는지라 베드로도 그 가운데 앉았더니
55 And when they had kindled a fire in the middle of the courtyard and sat down together, Peter sat down among them.
22:56 한 여종이 베드로의 불빛을 향하여 앉은 것을 보고 주목하여 이르되 이 사람도 그와 함께 있었느니라 하니
56 Then a servant girl, seeing him as he sat in the light and looking closely at him, said, “This man also was with him.”
22:57 베드로가 부인하여 이르되 이 여자여 내가 그를 알지 못하노라 하더라
57 But he denied it, saying, “Woman, I do not know him.”
22:58 조금 후에 다른 사람이 보고 이르되 너도 그 도당이라 하거늘 베드로가 이르되 이 사람아 나는 아니로라 하더라
58 And a little later someone else saw him and said, “You also are one of them.” But Peter said, “Man, I am not.”
22:59 한 시간쯤 있다가 또 한 사람이 장담하여 이르되 이는 갈릴리 사람이니 참으로 그와 함께 있었느니라
59 And after an interval of about an hour still another insisted, saying, “Certainly this man also was with him, for he too is a Galilean.”
22:60 베드로가 이르되 이 사람아 나는 네가 하는 말을 알지 못하노라고 아직 말하고 있을 때에 닭이 곧 울더라
60 But Peter said, “Man, I do not know what you are talking about.” And immediately, while he was still speaking, the rooster crowed.
22:61 주께서 돌이켜 베드로를 보시니 베드로가 주의 말씀 곧 오늘 닭 울기 전에 네가 세 번 나를 부인하리라 하심이 생각나서
61 And the Lord turned and looked at Peter. And Peter remembered the saying of the Lord, how he had said to him, “Before the rooster crows today, you will deny me three times.”
22:62 밖에 나가서 심히 통곡하니라
62 And he went out and wept bitterly.
베드로가 예수님을 부인한 사건은 매우 중요한 사건이었습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사복음서 모두 이 사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별히 요한이 기록한 내용은 매우 상세한데, 아마도 베드로가 어떻게 대제사장의 마당까지 들어갈 수 있었는지에 대한 초대교회 성도들의 궁금증에 대한 답변을 하기 위함이 아니었나 생각해 봅니다.
베드로는 문 밖에 서 있는지라 대제사장을 아는 그 다른 제자가 나가서
문 지키는 여자에게 말하여 베드로를 데리고 들어오니 (요 18:16)

멀찍이
예수님은 먼저 안나스에게 끌려갑니다. 안나스는 그 해 대제사장인 가야바의 장인입니다(요 18:13).
안나스 역시 대제사장이었습니다. 요한의 도움으로 제사장의 뜰에 들어갈 수 있었던 베드로의 영적인 상태를 잘 표현해 주는 단어가 있습니다.
멀찍이 따라가니라(54) 멀찍이 의 반대말은 가까이 입니다.
지금 나는 무엇을 멀찍이 하고 있으며, 무엇을 가까이 하고 있습니까?
지금 가까이 하는 것이 나의 영적인 상태를 대변합니다. 내가 가까이 해야 하는 것은 예수입니다.
예수님을 가까이 하는 자는 말씀과 기도, 찬양, 그리고 믿음의 친구들을 가까이 합니다. 좋은 믿음의 친구는 긍정적이고 밝으며, 내가 잘못된 판단과 생각을 할 때 나에게 조언을 아끼지 않습니다.
반면에 내가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하는 존재는 부정적이고, 불평하며, 판단하고, 선입견을 심어줍니다.
절망적으로 상황을 보게 합니다. 그리고 나도 모르게 이렇게 점점 예수님과 멀어집니다.
하나님의 말씀보다 세상의 소리나 사람들의 소리가 더 크게 들립니다.
혹시 나는 지금 주님과 멀찍이 서 있는 것은 아닌가요? 내가 지금 가까이 하는 존재는 무엇입니까?

누가나 마태, 마가는 예수님의 심문이 그저 한 장소에서 벌어진 사건인양 기록하였지만, 요한복음을 참조하면 예수님은 장인 안나스의 집에서 사위 가야바의 집으로 옮겨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요 18:24).
베드로는 멀찍이지만 그래도 이때까지는 자신이 맹세한대로 주님을 따르고 있습니다.
물론 벌써 2번이나 계집종 앞에서 예수를 모른다고 부인했습니다(57, 58).
하지만 가야바의 집에서 베드로의 세 번째 부인은 좀 심각했습니다.
왜냐하면 몇 시간 전에 베드로가 칼로 대제사장의 종인 말고의 귀를 쳐서 떨어뜨렸던 것을 목격했던 말고의 친척이 베드로를 알아 보았기 때문입니다(요 18:26).
너무 급했던 베드로는 저주하며 맹세하여(마 26:74; 막 14:71) 예수를 모른다고 부인합니다.
이것이 예수를 멀찍이 따를 때 벌어지는 일입니다.
예수님을 따라가려면 기왕이면 가까이 따라가야 합니다.
우는 사자와 같이 덤벼드는 사탄은 예수님 가까이 있는 자가 아닌 멀찍이 떨어져 있는 자를 공격합니다.
예수님을 멀찍이 따라가면 삶이 불안해집니다, 두려워집니다, 그러다 보면 사람들 앞에 비겁해 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 끝은 결국에는 예수를 모른다고 부인하는 사태가 벌어집니다.

주의 말씀이 생각날 땐
베드로가 예수를 모른다고 부인하는 그 순간 주님이 예고하셨던 닭이 두 번째 웁니다(막 14:72).
그 때 주님이 베드로를 돌이켜 봅니다.
누가복음에서 돌이켜 보다 라는 표현은 예수님이 청중들을 꾸짖거나 타이를 때 쓰이는 동사입니다.
주님은 지금 베드로에게 무슨 말씀을 하고 싶으셨을까요?
소리치며 주님을 부인하고 있는 베드로의 눈과 그를 불쌍히 바라보시는 예수님의 눈이 마주치는 이 장면을 영화로 만든다면 가슴이 터질 것 같은 명장면일 것입니다.
주님과 눈이 마주친 베드로는 주님의 말씀이 생각났습니다.
그 말씀은 내가 듣기 싫었고, 아니라고 부인했던 말씀이었습니다.
그 말씀은 내가 착각하고 있는 내 자신의 현실을 깨닫게 해주는 말씀이었습니다.
그 말씀이 생각나자, 베드로는 밖에 나가서 심히 통곡(62)했습니다.

사람들은 밖이라는 곳이 아마도 감람산 자락이 아닐까 예상합니다.
베드로가 기도에 실패했던 그 자리에서 베드로는 회개를 한 것입니다.
왜냐하면 기도의 실패가 곧 예수님에 대한 부인으로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내가 듣기 싫고, 아니라고 부인하고 싶은 말씀이 들릴 때 나는 어떻게 반응합니까?
내가 착각하고 있는 내 자신에 대한 환상을 깨뜨리는 말씀이 들릴 때 나는 어떻게 반응합니까?
이렇게 주님을 세 번 부인했던 베드로가 끝내 주님의 수제자로서 사명을 감당할 수 있었던 비결은 돌이켜 보시는 주님의 은혜와 그 때 들려진 말씀에 대해서 통곡과 눈물로 회개했기 때문입니다.
말씀이 들려질 때 나는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그 반응에 따라 베드로가 될 수도 있고, 가룟 유다가 될 수도 있습니다.
톰 라이트는 이 부분을 다음과 같이 마무리 합니다.
베드로를 얕보고 무시할 그리스도인 별로 없을 것이다.
‘그래, 인생이 원래 그래. 늘 그렇지 뭐.’
아마 우리도 베드로 같은 처지를 경험한 후에야
비로소 새로운 삶의 방식으로 일하고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삶의 방식은 내 힘이 아니라 겸손하게 하시는 하나님의 새로운 부르심을 의지할 때 가능하다.
베드로와 눈이 마주친 주님이 무슨 말씀을 하고 싶었을까? 물으신다면, 확신합니다.
베드로야 괜찮아, 이미 알고 있었단다. 이제 너의 힘이 아닌 내가 주는 힘으로 살아야 한단다.
제발 무너지지 말고 이겨내렴, 나는 너를 끝까지 사랑한단다. 죽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