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20215 [새벽묵상] 복 있는 종이 됩시다 | Let us be Blessed Servants (눅/Lk 12:35~48)



12:35 허리에 띠를 띠고 등불을 켜고 서 있으라

35 “Stay dressed for action and keep your lamps burning,

12:36 너희는 마치 그 주인이 혼인 집에서 돌아와 문을 두드리면 곧 열어 주려고 기다리는 사람과 같이 되라

36 and be like men who are waiting for their master to come home from the wedding feast, so that they may open the door to him at once when he comes and knocks.

12:37 주인이 와서 깨어 있는 것을 보면 그 종들은 복이 있으리로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주인이 띠를 띠고 그 종들을 자리에 앉히고 나아와 수종들리라

37 Blessed are those servants whom the master finds awake when he comes. Truly, I say to you, he will dress himself for service and have them recline at table, and he will come and serve them.

12:38 주인이 혹 이경에나 혹 삼경에 이르러서도 종들이 그같이 하고 있는 것을 보면 그 종들은 복이 있으리로다

38 If he comes in the second watch, or in the third, and finds them awake, blessed are those servants!

12:39 너희도 아는 바니 집 주인이 만일 도둑이 어느 때에 이를 줄 알았더라면 그 집을 뚫지 못하게 하였으리라

39 But know this, that if the master of the house had known at what hour the thief was coming, he would not have left his house to be broken into.

12:40 그러므로 너희도 준비하고 있으라 생각하지 않은 때에 인자가 오리라 하시니라

40 You also must be ready, for the Son of Man is coming at an hour you do not expect.”

12:41 베드로가 여짜오되 주께서 이 비유를 우리에게 하심이니이까 모든 사람에게 하심이니이까

41 Peter said, “Lord, are you telling this parable for us or for all?”

12:42 주께서 이르시되 지혜 있고 진실한 청지기가 되어 주인에게 그 집 종들을 맡아 때를 따라 양식을 나누어 줄 자가 누구냐

42 And the Lord said, “Who then is the faithful and wise manager, whom his master will set over his household, to give them their portion of food at the proper time?

12:43 주인이 이를 때에 그 종이 그렇게 하는 것을 보면 그 종은 복이 있으리로다

43 Blessed is that servant whom his master will find so doing when he comes.

12:44 내가 참으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주인이 그 모든 소유를 그에게 맡기리라

44 Truly, I say to you, he will set him over all his possessions.

12:45 만일 그 종이 마음에 생각하기를 주인이 더디 오리라 하여 남녀 종들을 때리며 먹고 마시고 취하게 되면

45 But if that servant says to himself, ‘My master is delayed in coming,’ and begins to beat the male and female servants, and to eat and drink and get drunk,

12:46 생각하지 않은 날 알지 못하는 시간에 그 종의 주인이 이르러 엄히 때리고 신실하지 아니한 자의 받는 벌에 처하리니

46 the master of that servant will come on a day when he does not expect him and at an hour he does not know, and will cut him in pieces and put him with the unfaithful.

12:47 주인의 뜻을 알고도 준비하지 아니하고 그 뜻대로 행하지 아니한 종은 많이 맞을 것이요

47 And that servant who knew his master's will but did not get ready or act according to his will, will receive a severe beating.

12:48 알지 못하고 맞을 일을 행한 종은 적게 맞으리라 무릇 많이 받은 자에게는 많이 요구할 것이요 많이 맡은 자에게는 많이 달라 할 것이니라

48 But the one who did not know, and did what deserved a beating, will receive a light beating. Everyone to whom much was given, of him much will be required, and from him to whom they entrusted much, they will demand the more.


 


군대에서 보초를 설 때 종종 소대장이나 중대장이 각 초소나 진지로 순찰을 돌 때가 있습니다.

보초를 설 때는 일차적으로 정면을 응시하면서 적군의 침투가 있는지를 감시하지만, 동시에 뒤나 옆에서 들리는 인기척이나 소리도 감시해야 합니다. 혹시라도 뒤나 옆에서 누군가 접근하는 소리가 들리면 손들어, 움직이면 쏜다, 암호, 누구냐 라고 순서대로 물은 후에 만일 부대장이면 충성! 이라고 경례를 한 후 근무 중 이상무! 라고 보고합니다.

그런데 만일 그 시간에 졸거나 딴 짓을 하다가 소대장이나 중대장의 접근을 몰랐을 경우에는 엄청난 질책과 벌칙을 부여 받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군대의 감방인 영창에 다녀와야 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복 있는 종 (35~43절)

오늘 본문에서 그 종들은 복이 있으리라(37, 38, 43)라는 구문이 반복적으로 등장합니다.

확실히 중요한 핵심적인 주제입니다. 그렇다면 복 있는 종은 어떤 사람일까요?

예수님은 허리에 띠를 띠고 등불을 켜고 서 있으라(35)고 명령하십니다.



이것은 마치 군인이 적군으로부터 무엇인가를 지키기 위해 보초를 서는 모습과 유사합니다.

어느 때든지 침투해오는 적이나, 또는 기다리던 사람을 맞이할 준비가 된 모습인 것입니다.

이경에나 혹 삼경에 이르러서도(38)에서 이경과 삼경은 밤 깊은 시간을 말하는 것입니다.

로마 사람들은 밤 시간인 저녁 6시부터 다음 날 아침 6시까지의 시간을 4등분하여 일경(6~9시), 이경(9~12시), 삼경(12~3시), 사경(3~6시)으로 나눕니다.

그러니까 가장 야심한 밤 시간에도 깨어서 주인을 기다리는 종이 되어야 한다는 말씀입니다.

결국 예수님은 생각하지 않은 때에 인자가 올 것이기에 종들은 언제라도 오실 수 있는 주인을 맞이하기 위해 늘 깨어서 준비하여야 함을 가르쳐 주십니다.

그러므로 주인이 오심을 늘 깨어서 준비하는 사람이 예수 그리스도의 복 있는 종입니다.

이러한 종이 받을 상급은 놀랍습니다!

주인이 띠를 띠고 그 종들을 자리에 앉히고 나아와 수종 들리라 (37b)

이것은 마치 성만찬에서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행했던 놀라운 섬김을 떠올리게 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예수님의 세족식의 섬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종의 과장법으로 주인을 기다리며 깨어있어 주인이 문을 두드릴 때 바로 여는 종을 주인이 섬겨주고 싶을 정도로 기뻐할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졸다가 마귀의 시험에 빠졌던 베드로는 깨어 있음의 중요함을 다음과 같이 외쳤습니다.


근신하라 깨어라 너희 대적 마귀가 우는 사자 같이 두루 다니며 삼킬 자를 찾나니(벧전 5:8)


나는 늘 깨어 준비하고 있는 종입니까? 졸고 있는 종입니까?


예수님의 비유의 가르침을 들은 베드로는 주께서 이 비유를 우리에게 하심이니이까 모든 사람에게 하심이니이까(41)질문합니다. 주님은 직접적인 답변 대신에 진실한 청지기의 비유를 말씀하십니다.

앞선 비유와 차이점은 앞선 비유에서는 이 주인공이었고, 이번 비유에서는 청지기가 주인공입니다.

종과 청지기는 같지만 다른 단어입니다. 청지기는 헬라어로 οἰκονόμος 오이코노모스 입니다. 청지기는 주인의 재산과 종들, 심지어 자녀들까지 관리하는 직무를 맡은 자로서 자유인이거나 혹은 종 가운데에도 그 일을 맡겼습니다. 성경에 등장하는 대표적인 인물이 요셉입니다.

결국 베드로의 질문에 대한 간접적인 답변이 된 셈입니다. 앞의 비유가 모든 성도들에 대한 포괄적인 비유라면, 청지기 비유는 그 중에서 사도나 제자들을 위한 비유인 것입니다.

여기서 두 번째 복 있는 종의 정체가 밝혀집니다. 지혜 있고 진실한 청지기가 바로 복 있는 종입니다.

그는 주인에게 그 집 종들을 맡아 때를 따라 양식을 나누어 주는 선한 종입니다. 이것은 오늘날 목회자나 장로, 교회의 리더십들이 자신들에게 맡겨진 사명을 온전히 감당하며, 맡겨진 성도들을 진심으로 사랑하고 온 힘을 다해 돌보며 그들을 위해 기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복 있는 종이 누릴 복은 주인이 그의 모든 소유를 맡게 되는 것입니다.



신실하지 못한 종이 받는 벌 (45~48절)

이제 예수님은 복 있는 종과 반대되는 비유를 듭니다. 신실하지 못한 청지기요, 종입니다.

그는 맡겨진 종들을 함부로 대하고 때리고, 자신은 먹고 마시며 방탕한 생활을 합니다. 하지만 그가 생각하지 않은 날 알지 못하는 시각에 주인이 이르러 그를 엄히 때리고 신실하지 아니한 자가 받는 벌에 처할 것입니다(45~46).

처벌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인의 뜻을 알고도 준비하지 않고, 그 뜻대로 행하지 않은 종은 많이 맞을 것입니다(47).

주인의 뜻을 알지 못하고 맞을 일을 행한 종은 적게 맞을 것입니다(48a)

주인의 뜻을 알았던 알지 못했던 결과는 동일합니다. 다만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결국 그들은 신실하지 못한 자들이 받는 벌에 처해질 것입니다.

그것은 그 나라의 본 자손들은 바깥 어두운 데 쫓겨나 거기서 울며 이를 갈게 되리라(마 8:12) 입니다.

이 비유에서 신실하지 않은 청지기는 이미 하나님의 말씀을 부여 받은 유대인들이요, 구체적으로는 서기관과 바리새인을 말합니다. 하지만 사도들 역시 맡겨진 바 주인의 일을 성실하게 수행하지 않는다면 동일한 처벌을 받을 것입니다.

우리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는 이미 주님의 뜻을 아는 자들입니다. 준비하지 않고 그 뜻대로 행하지 않는다면 우리 역시 신실하지 못한 청지기들이 받는 벌을 면할 수 없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많은 것들을 주셨습니다.

그런데 이제 봤더니 그것이 좋은 것이 아닙니다. 많이 받은 자에게는 많이 요구하실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깨어 준비된 종이 됩시다. 지혜 있고 진실한 청지기가 됩시다.

그리하여 주님께서 엎고 다니고 싶을 정도로 사랑스런 종, 믿음직하여 주님의 나라를 맡길 수 있는 청지기가 됩시다.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