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이스라엘 족속이 그 이름을 만나라 하였으며 깟씨 같이 희고 맛은 꿀 섞은 과자 같았더라
32 모세가 이르되 여호와께서 이같이 명령하시기를 이것을 오멜에 채워서 너희의 대대 후손을 위하여 간수하라 이는 내가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낼 때에 광야에서 너희에게 먹인 양식을 그들에게 보이기 위함이니라 하셨다 하고
33 또 모세가 아론에게 이르되 항아리를 가져다가 그 속에 만나 한 오멜을 담아 여호와 앞에 두어 너희 대대로 간수하라
34 아론이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 그것을 증거판 앞에 두어 간수하게 하였고
35 사람이 사는 땅에 이르기까지 이스라엘 자손이 사십 년 동안 만나를 먹었으니 곧 가나안 땅 접경에 이르기까지 그들이 만나를 먹었더라
36 오멜은 십분의 일 에바이더라
성찬에 대한 입장은 대표적으로 카톨릭과 종교개혁자 3명의 입장으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축사를 하는 순간 빵은 그리스도의 살로, 포도주는 그리스도의 피로 변한다는 카톨릭의 화체설 (化體說, transubstantiation)과 빵과 포도주의 본질은 변하지 않지만 빵 안에, 아래에, 함께 한다는 마틴 루터의 공재설 (共在說, consubstantiation), 그저 기념한다는 울리히 츠빙글리의 기념설 (記念說, memorialism), 기도할 때 주님의 살과 피가 영적으로 임한다는 칼빈의 영적 임재설 (靈的 臨在說, spiritual presence) 입니다.
장로교는 존 칼빈의 신학을 따르지만, 개인적으로 볼 때는 종교개혁자들의 의견을 통합하여 이해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이러한 성례전은 주일과 필수적인 관계를 맺습니다. 초대교회는 주님을 기념하여 주일에 모여서 떡과 포도주를 나누고, 세례를 행했습니다. 성례Sacrament는 라틴어 사크라멘툼sacramentum에서 유래했는데, 이것은 감추어진, 비밀스러운 것이라는 의미의 헬라어 무스테리온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성례는 말씀과 더불어 은혜를 받을 수 있는 은혜의 방편입니다. 이런 중요한 성례로서 성찬과 오늘 본문은 어찌 보면 매우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만나와 성찬, 만나와 예수 그리스도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만나가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주일과 안식일의 불연속성과 연속성
어제 본문에서 안식일은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고백하는 날이라고 배웠습니다. 하나님의 완전하신 창조와 하나님의 은혜로 인간이 먹고 사는 것을 실제로 고백하는 것이 쉼입니다. 하나님이 쉬시는데, 내가 뭐라고 뽈뽈 거리고 일하겠습니까? 하나님이 쉬시면, 우리도 쉬면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복 주신 안식이 깨졌습니다. Garden of Eden, 아담 & 하와의 범죄로 말미암아 계약이 파기되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사랑하는 인간을 포기할 수 없었고, 다시 안식을 주시기를 원하셨습니다.
그래서 바로 다음날을 새로운 진정한 안식의 날로 계획 하셨습니다. 여덟째 날이고, 안식 후 첫 날입니다.
안식 후 첫 날 많이 들어본 표현 아닌가요? 두려워 떠는 제자들에게 부활 후 나타나신 날입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오시어 에이레네, 곧 샬롬을 선포하셨습니다.
이것이 주일과 안식일의 연속성입니다. 두 날 모두 참 평안/쉼을 누리는 날입니다.
주일은 진정한 평화/쉼을 주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와 부활을 믿는 자들이 모이는 날입니다.
그래서 교회는 근본적으로 모이는 공동체입니다. 모여서 신앙을 고백하고 서로 확인하는 일을 예배(말씀)/ 성례를 통하여 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신앙고백의 의미를 담는 안식일의 개념과 죄로 말미암아 깨진 안식의 회복, 곧 구원과 죄사함의 은혜가 함께 있는 날이 주일입니다. 그래서 일주일이 다시 시작되는 첫 날, 주일에 모이는 것입니다. 특별히 모이는 것 자체가 신앙을 고백하는 가장 기초적인 행위이기 때문에 애써 모이는 것입니다. 진짜 믿음은 행하는 것입니다.
만나와 예수 그리스도
만나의 이름은 이것이 무엇인가?(15) 입니다. 모세는 다음과 같이 명령합니다. 이것을 오멜에 채워서 너희의 대대 후손을 위하여 간수하라(32) 바꿔 말하면 계속하여 기념하라! 는 것입니다. 만나는 광야 40년을 살아가는 현 세대를 위한 것이지만, 동시에 대대손손을 위한 것이기도 합니다. 너희에게 먹인 양식을 그들에게 보이기 위함이니라(32b)만나의 보관방식은 항아리에 한 오멜을 채워서 증거판 앞에 두어 간수하게 하였습니다. 금 향로와 사면을 금으로 싼 언약궤가 있고 그 안에 만나를 담은 금 항아리와 아론의 싹난 지팡이와 언약의 돌판들이 있고(히 9:4)
하나님은 가나안 땅에 이르기까지 40년을 만나로 먹이셨다(35). 출애굽은 첫 해 1월 15일, 만나를 처음 먹은 날은 2월 15일입니다. 만나가 그친 날은 가나안 땅의 소산물을 처음 먹은 날입니다. 곧 출애굽 후 41년 유월절(1/15). 그러니까 39년 11개월 동안 만나를 주신 것입니다. 만나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는 것은 먹어보지 못한 자들에 대한 배려입니다. 만나를 먹어보고 경험한 세대가 후대를 위해서 나 때는 말이야! 하면서 친절하게 알려주는 구절입니다. 이처럼 만나는 40년 광야 생활을 한 세대만을 위한 것이 아닌 오고 가는 전 세대에 걸쳐 널리 알리고, 전해야 할 하늘 양식이고, 복음이었습니다.
40년간 먹이신 만나의 핵심은 다음 구절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너를 낮추시며 너를 주리게 하시며 또 너도 알지 못하며 네 조상들도 알지 못하던 만나를 네게 먹이신 것은 사람이 떡으로만 사는 것이 아니요 여호와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사는 줄을 네가 알게 하려 하심이니라 (신 8:3)
후대에게 전할 그것은 사람이 떡으로만 사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려야 합니다. 이 땅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떡이 필요하지만, 인간의 본질은 떡이 아닙니다. 인간은 영적인 존재입니다. 하나님이, 하나님의 말씀이 우리 인간을 존재하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만나는 그냥 물질이 아니라 하나님의 생명의 말씀의 실체이고, 상징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만나는 한 단계 더 나갑니다.
요한복음은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요 1:1)라고 시작합니다. 이것은 요한이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서 설명한 것인데, 예수는 곧 말씀이고, 하나님이라는 것입니다.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말씀이 눈에 보이도록 나타난 것, 곧 말씀 덩어리가 된 것이 예수십니다. 이처럼 예수님은 보이지 않는 하나님이 눈에 보이도록 나타나신 바 된 존재입니다.
그런데 그 예수님이 자신에 대해서 내가 곧 생명의 떡이니라 너희 조상들은 광야에서 만나를 먹었어도 죽었거니와 이는 하늘에서 내려오는 떡이니 사람으로 하여금 먹고 죽지 아니하게 하는 것이니라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 있는 떡이니 사람이 이 떡을 먹으면 영생하리라…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인자의 살을 먹지 아니하고 인자의 피를 마시지 아니하면 너희 속에 생명이 없느니라(요 6:48-51a, 53)라고 말씀 하셨습니다.
그렇습니다! 만나는 곧 예수 그리스도의 모형에 불과합니다. 만나를 먹은 자들은 이미 다 죽었습니다.
만나는 먹어도 안 먹어도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진짜 만나, 하늘양식, 하나님의 말씀 덩어리인 예수를 먹지 않으면 큰일납니다. 그래서 예수의 살과 피를 먹고 마시지 않으면 끝인 것입니다.
광야 생활 40년에서 만나를 먹지 않고는 생존이 불가능했습니다. 마찬가지로 광야 같은 인생길에서 참 만나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먹고 마시지 않고는 생존이 불가능합니다. 예수를 먹고 마시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그것은 먹은 음식이 화학적 작용을 하여 내 몸에서 살과 피가 되듯, 예수가 내 안에서 살이 되고 피가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생각, 말, 행동 모든 것이 예수화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이 만나이신 예수를 먹는 것입니다. 이것이 성찬의 비밀이기도 합니다.
세상은 네 자신이 가장 중요해, 누구보다 네 자신이 행복하면 되는 거야 라고 말합니다. 물론 하나님도 우리가 행복한 것을 좋아하십니다. 그러나 근본적인 기독교의 가치는 전혀 다른 길입니다. 기독교는 자아실현이 아닌 자기부정을 이야기합니다. 나는 사라지고, 오직 예수만 남는 것! 이것이 진짜 만나를 먹는 자의 삶입니다. 마지막 날에는 자아로 가득찬 자는 영벌이고, 예수로 가득찬 자는 영생입니다.
31 The people of Israel called the bread manna. It was white like coriander seed and tasted like wafers made with honey. 32 Moses said, “This is what the Lord has commanded: ‘Take an omer of manna and keep it for the generations to come, so they can see the bread I gave you to eat in the wilderness when I brought you out of Egypt.’”
33 So Moses said to Aaron, “Take a jar and put an omer of manna in it. Then place it before the Lord to be kept for the generations to come.”
34 As the Lord commanded Moses, Aaron put the manna with the tablets of the covenant law, so that it might be preserved. 35 The Israelites ate manna forty years, until they came to a land that was settled; they ate manna until they reached the border of Canaan.
36 (An omer is one-tenth of an ephah.)
The interpretation on the Lord’s Supper can be condensed into three opinions, the Catholic and the Reformers.
At the moment when giving thanks, bread turns into the flesh of Christ and wine turns into the blood of Christ that is the Catholic transubstantiation (化體說), and Martin Luther's consubstantiation (共在說) is that the nature of bread and wine remains unchanged, but in, under, and together with the bread, Ulrich Zwingli's memorialism (記念說) that just commemorates, and Calvin's spiritual presence (靈的 臨在說) that the flesh and blood of the Lord come spiritually when we pray.
Presbyterian follows John Calvin's theology, but personally it is better to integrate and understand all opinions of the Reformers. This Sacrament has an essential relationship with Lord’s day. The early church gathered on Lord’s day in memory of the Lord, shared bread and wine, and baptized. Sacrament comes from the Latin sacramentum, which comes from the Greek word musterion, meaning hidden, secret. The sacrament is a means of grace which we can receive along with the Word. As such an important sacrament, the Lord’s Supper and today's scripture have a very deep relation in some way.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na and the sacrament, manna and Jesus Christ? Let's find out what manna means.
Discontinuity and continuity of Lord’s day and Sabbath We learned from yesterday's scripture that the Sabbath is a day to confess your faith in God the Creator. It is a rest to actually confess that humans eat and live by God's perfect creation and God's grace. God is resting, who am I to work? When God rests, we also need to rest.
But the blessed rest was broken. Garden of Eden, Adam & Eve's crime broke the contract.
But God could not give up his beloved human, and He wanted to give us rest again.
So He planned the very next day as a new true Sabbath. It is the eighth day, and the first day after the Sabbath.
Isn't it the expression you heard a lot on the first day after the rest? It is the day He appeared after the resurrection to the fearful disciples.
Jesus came to his disciples and proclaimed Eirene (εἰρήνη), Shalom.
This is the continuity between the Lord’s day and the Sabbath. Both are days of real peace/rest.
Lord’s day is the day when those who believe in the Atonement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who give true peace/rest, gather.
So the church is essentially a community. We gather together to confess our faith and confirm each other through worship (word)/sacrament.
Therefore, the concept of the Sabbath that contains the meaning of the confession of faith in God the Creator, the restoration of the broken sabbath due to sin, that is, the day when the grace of salvation and forgiveness of sins are together is Lord’s day. That's why we meet on the first day of the week, the Lord’s day. Special gathering is the most basic act of confessing our faith, that is why we try hard to gather. Real faith requires action.
Manna and Jesus Christ
The name of manna is “What is it?” (15). Moses commanded: “Take an Omer of manna and keep it for the generations to come”. (32) In other words, keep celebrating! Manna is for the present generation living in the wilderness for 40 years, but it is also for generations to come. It is for them to see the bread I gave you to eat (32b). The storage method of manna was to fill a jar with an omer and put it in the Ark of Testimony to keep. “The golden altar of incense and the gold-covered ark of the covenant. This ark contained the gold jar of manna, Aarons staff that had budded, and the stone tablets of the covenant” (Hebrews 9:4).
God fed manna for 40 years until reaching the land of Canaan (35). The first year of Exodus is January 15th, and the first day of eating manna is February 15th. The day manna stopped was the first day they ate the produce of the land of Canaan. That is, the Passover (1/15) in 41 years after the Exodus. Manna was given for 39 years and 11 months.
The reason for explaining in detail about manna is the consideration for those who have never eaten.
This is the verse, the generation who had tried manna to tell about kindly to the future generation, such as “when I was young!”
This is not just for one generation, 40 years in the wilderness, but it is the heavenly food and the Gospel to be spread and preached throughout all generations.
The essence of manna, which has been fed for 40 years, is illustrated in the following passage.
He humbled you, causing you to hunger and then feeding you with manna, which neither you nor your fathers had known, to teach you that man does not live on bread alone but on every word that comes from the mouth of the LORD (Deut. 8:3).
It is necessary to inform the future generations that people do not live by bread alone. Bread is absolutely necessary to live on this earth, but human being is not for bread. Humans are spiritual beings. God, God's Word is what makes us humans exist. Therefore, manna is not just a thing, but a reality and symbol of the God’s Word of life. And manna goes one step further from here.
The Gospel of John begins with “In the beginning was the Word and the Word was with God, and the Word was God”(John 1:1). This is what John explained about Jesus Christ, which means that Jesus is the Word and God. It is Jesus that the invisible Word of God appeared to be visible, that is, the Word became Jesus. In this way, Jesus is an invisible God who has been revealed to the eyes.
Then, that Jesus is telling about Himself, “I am the bread of life. Your forefathers ate the manna in the desert, yet they died, but here is the bread that comes down from heaven, which a man may eat and not die. I am the living bread that came down from Heaven, If anyone eats this bread, he will live forever... Jesus said to them, “I tell you the truth, unless you eat the fresh of the Son of Man and drink hid blood, you have no life in you (John 6:48-51a, 53).
That's right! The manna is just a model of Jesus Christ. Those who had eaten manna are already dead.
It doesn't matter if you eat manna or not. But if you don't eat the real manna, the heavenly food, and the lump of God's Word, Jesus, is a big deal. So, if you do not eat and drink the flesh and blood of Jesus, it is the end.
In 40 years of life in the wilderness, survival was impossible without eating manna. Likewise, it is impossible to survive without eating and drinking Jesus Christ, who is the true manna in the wilderness of life. What does it mean to eat and drink Jesus? It means that Jesus becomes flesh and blood within me, just as food eaten chemically acts as flesh and blood in my body. So it means that all thoughts, words, and actions become Jesus. This is to eat Jesus, the manna. This is also the secret of the sacrament.
The world says that you are the most important, you just need to be happier than anyone else. Of course, God loves that we are happy. However, fundamental Christian values are a completely different path. Christianity talks about self-denial, not self-actualization. I disappear, and only Jesus remains! This is the life of a real manna eater. In the last days, those who are full of self are eternal punishment, and those who are full of Jesus are eternal lif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