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10311 [새벽묵상] 용해와 석출 | Dissolve & Deposition (마/Mt 22:15-22)



가이사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 (막 12:13-17; 눅 20:20-26)


(15) 이에 바리새인들이 가서 어떻게 하면 예수를 말의 올무에 걸리게 할까 상의하고

(16) 자기 제자들을 헤롯 당원들과 함께 예수께 보내어 말하되 선생님이여 우리가 아노니 당신은 참되시고 진리로 하나님의 도를 가르치시며 아무도 꺼리는 일이 없으시니 이는 사람을 외모로 보지 아니하심이니이다

(17) 그러면 당신의 생각에는 어떠한지 우리에게 이르소서 가이사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이 옳으니이까 옳지 아니하니이까 하니

(18) 예수께서 그들의 악함을 아시고 이르시되 외식하는 자들아 어찌하여 나를 시험하느냐

(19) 세금 낼 돈을 내게 보이라 하시니 데나리온 하나를 가져왔거늘

(20) 예수께서 말씀하시되 이 형상과 이 글이 누구의 것이냐

(21) 이르되 가이사의 것이니이다 이에 이르시되 그런즉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하시니

(22) 그들이 이 말씀을 듣고 놀랍게 여겨 예수를 떠나가니라


예수님께 망신만 당한 바리새인들은 작전상 후퇴를 하여 전열을 재정비한 후에 예수께 다시 옵니다.

아마도 아주 좋은 방법이라고 자부하는 마음으로 왔을 것입니다. 그들이 선택한 방법은 헤롯당원들과 함께 예수께 와서 가이사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이 옳으니이까 옳지 아니하니이까(17b)라고 질문을 하는 것입니다.


헤롯당원은 누구이며, 왜 그들과 함께 와서 난데없는 세금과 관련된 질문을 하는 것일까요?

F.F.부르스Bruce는 헤롯당원에 대해서 로마황제 밑에서 유대 민족을, 헤롯이 다스리는 것을 다행으로 생각하여 동조하는 자들이라고 말했습니다.

렌스키Lenski 역시 이들은 작은 정치적 모임으로 비종교적이며 로마 황제가 총독을 통해 직접 다스리는 것보다 가이사 밑에서 헤롯왕가가 유대 민족을 다스리는 것을 좋게 여겨 생긴 파당이라고 했습니다.

헤롯당은 갈릴리 분봉왕 헤롯을 지지하는 자들로 당연히 친로마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세금에 문제에 있어서도 로마황제에게 우호적입니다.

반대로 바리새인들은 로마의 통치에 반대하는 자들로 특히 세금에 문제에 있어서는 매우 적대적이었습니다. 열심당원들 같은 경우에는 폭력적인 저항도 서슴지 않는 자들이었습니다.

당시 로마가 거두는 세금은 곡식의 십분의 일과 기름과 술의 오분의 일을 거두는 토지세, 소득의 백분의 일을 거두는 소득세, 그리고 오늘 본문에 등장하는 14~65세의 남성과 12~65세의 여성 한 사람당 일꾼의 일당에 해당하는 한 데나리온을 거두는 인두세Poll-Tax가 있었습니다. 특히 인두세에 대해서 유대인들은 매우 반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니 바리새인과 헤롯당원은 사실 같이할래야 할 수 없는 관계였던 것입니다.

그럼에도 바리새인들이 헤롯당원들과 함께 예수께 와서 세금에 대하여 질문한 이유는 예수의 대답에 따라 얼마든지 정치적, 또는 종교적으로 해을 가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만일 예수께서 가이사에게 세금을 바치지 말라 고 답변했을 경우, 헤롯당원들은 즉시로 예수를 반역죄로 로마에 고발했을 것입니다. 반대로 가이사에게 세금을 바치라 고 답변했을 경우, 예수는 배교자가 되어 더 이상 백성들에게 선지자로서 인정을 받지 못할 것입니다. 그러니 그들이 들고 온 질문은 이렇게 대답하지도, 저렇게 대답하지도 못하는 딜레마였던 것입니다.


하지만 예수님이 누구십니까? 바로 하나님 아니십니까? 주님은 그들의 모든 생각을 아시고 외식하는 자들아 어찌하여 나를 시험하느냐(18)라고 말씀 하신 후 세금 낼 돈인 로마의 은화 데나리온 하나를 가지고 이 형상과 이 글이 누구의 것이냐(20)라고 질문하십니다.

주님이 말씀한 외식하는 자 라는 원어의 의미는 가면을 쓰고 연극을 하는 배우들을 의미합니다. 그들은 온갖 아첨하는 말로 주님이 경계를 푸시고 속내를 말씀 하시도록 유도(16) 했지만 주님은 속과 겉이 다른 그들의 중심을 알고 그들의 이중성을 직접적으로 지적하신 것입니다.


그의 입은 우유 기름보다 미끄러우나 그의 마음은 전쟁이요

그의 말은 기름보다 유하나 실상은 뽑힌 칼이로다 (시 55:21)


라고 고백한 시편 기자의 고백이 이러한 바리새인들을 두고 말한 것처럼 보입니다.

당시 황제는 2대 황제인 티베리우스(디베료) 였는데, 당시 데나리온 은전에는 그의 두상과 존엄한 신의 존엄한 아들 티베리우스 가이사 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었으며, 뒷면에는 지극히 높은 사제Pontifex Maximus라는 라틴어 글귀와 신들의 보좌에 앉아 있는 황제의 어머니의 그림이 새겨져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니 유대인들은 이러한 우상숭배적인 화폐를 좋아할 리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유월절 기간이 되면, 경제활동을 위하여 너나 할 것 없이 심지어 바리새인들조차도 데나리온을 가지고 다녔습니다.

예수님이 데나리온을 요청하자 바로 내 드리는 것만 봐도 그들이 얼마나 가식적인 삶을 살고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주님은 여기서 가장 유명한 성경 구절 중 하나인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21)는 말씀을 남깁니다. 원래 가이사는 초대황제인 율리우스 가이사Julius Caesar의 이름인데, 후에는 로마의 황제를 지칭하는 호칭이 됩니다. 예수는 바리새인들이 자신들의 입으로 말 한대로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바치고, 마땅히 하나님께 드려야 할 것 또한 드리라고 말합니다. 우문현답(愚問賢答)입니다. 그들은 아무 말도 하지 못하고 완전히 KO패를 당한 것입니다.

하지만 예수님의 이 말씀은 명확하지만, 동시에 심오합니다. 어디까지가 가이사의 것이고, 어디까지가 하나님의 것인가? 진짜 로마의 세금을 바치는 것이 옳은가? 저항하는 것이 옳은가? 사실 이러한 질문은 정치와 종교가 분리된 세상에 속한 인간의 정부 가운데 살아가는 현대 기독교인의 딜레마이기도 합니다.

주님은 지혜로운 답변을 통해서 주님이 원하는 성도의 삶은 헤롯왕과 헤롯당원들과 같은 세상과의 타협의 삶도 아닌, 또한 열심당원들과 같은 민족주의의 허울에 빠져 역사의 흐름 가운데 역사 하시는 하나님을 보지도 못하는 어리석은 삶도 아님을 말씀 해 주신 것입니다.

이 세상 어떤 정권도 어떤 존재도 하나님의 것이 아닌 것이 없습니다. 또한 모든 정권이 하나님으로부터 비롯된다는 것이 성경이 말하는 일관된 사상[1]입니다. 그러므로 정부가 하는 일이 명확하게 성경에 위배되는 일이 아닌 경우에는 정부에 협조하고, 조직과 제도, 질서를 따르는 것이 세상에 속한 구성원으로서 크리스천의 태도여야 합니다. 만일 정부가 하는 일이 성경에 위배되는 일이라면 성경적인 방법에 의한 지혜로운 저항이 필요할 것입니다.

주님은 성도를 세상의 소금과 빛이라고 하셨습니다. 소금은 그대로 있으면 절대 짠 맛을 낼 수 없습니다. 물이든 음식이든 섞여서 녹을 때, 곧 자신의 형체가 사라져 용해될 때 비로소 짠 맛을 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형체가 없어졌다고, 존재 자체가 사라져서는 안 됩니다. 소금물에서 물을 증발시키면 다시 소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것을 석출이라고 합니다.

크리스천은 세상에서 물에 녹아 없어진 소금처럼 보이지는 않지만 세상이 썩지 않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또한 세상이 살 맛 나도록 맛깔스럽게 해야 합니다. 그렇다고 세상과 같아져 아예 존재가 없어져서도 안 됩니다. 세상에 용해되어 잘 녹아 들고, 동시에 세상에서 언제든지 석출할 수 있는 존재가 우리입니다. 그렇습니다! 크리스천은 세상에서 부름 받고, 세상으로 보냄 받은 존재입니다.

우리는 그렇게 세상 속에서 거룩한 자들이 되어야 합니다.

[1] 각 사람은 위에 있는 권세들에게 복종하라 권세는 하나님으로부터 나지 않음이 없나니 모든 권세는 다 하나님께서 정하신 바라(롬 13:1) 인간의 모든 제도를 주를 위하여 순종하되 혹은 위에 있는 왕이나 혹은 그가 … 보낸 총독에게 하라 (벧전 2:13-14)


 

Paying the Imperial Tax to Caesar


15 Then the Pharisees went out and laid plans to trap him in his words. 16 They sent their disciples to him along with the Herodians. “Teacher,” they said, “we know that you are a man of integrity and that you teach the way of God in accordance with the truth. You aren’t swayed by others, because you pay no attention to who they are. 17 Tell us then, what is your opinion? Is it right to pay the imperial tax to Caesar or not?”


18 But Jesus, knowing their evil intent, said, “You hypocrites, why are you trying to trap me? 19 Show me the coin used for paying the tax.” They brought him a denarius, 20 and he asked them, “Whose image is this? And whose inscription?”


21 “Caesar’s,” they replied.


Then he said to them, “So give back to Caesar what is Caesar’s, and to God what is God’s.”


22 When they heard this, they were amazed. So they left him and went away.


The Pharisees, who were only embarrassed by Jesus, retreated and reorganized their battle lines before returning to Jesus.

Perhaps this time they came with pride because they figured out a good plan. The method they chose was to bring the Herodians to Jesus and ask the question, is it right to pay the imperial tax to Caesar or not? (17b).


Who are the Herodians, and why did the Pharisees bring them to ask about tax-related questions?

F.F. Bruce said of Herodians as those who sympathized with the Jewish people under the Roman Emperor, and were partisans of Herod the Great.

Lenski also said that they were not a religious sect, but rather small political gatherings that are secular, and were formed because they favored Herod and his family to rule the Jewish people rather than the Roman Emperor to rule the Jewish people through their governor.

Herodians were supporters of Herod, the king of Galilee, and naturally had a pro-Roman inclination.

Herodians favored the payment of taxes to the Roman Emperor.

On the contrary, the Pharisees opposed the Roman rule, especially when it came to tax matters. With the Zealots, they did not hesitate to resist violence by force of arms.

At that time, the taxes collected by Rome were land tax for one-tenth of grain and one-fifth of oil and alcohol, income tax for one-hundredth of income, and poll-tax for men ages between 14-65 and women aged 12-65 appearing in today's scripture. It was a capitation tax of one denarion per person, which is equivalent to a worker's daily wage. In particular, the Jews were very against this poll-tax. In fact, the Pharisees and Herodians were in an incompatible relationship.


Nevertheless, the reason why the Pharisees and Herodians came to Jesus and asked about taxation was because, depending on His answer, any number of political or religious harm could be done to Jesus.

If Jesus had answered not to pay taxes to Caesar, Herodians would immediately accuse Him of treason to Rome. Conversely, if He answered to pay taxes to Caesar, Jesus would become an apostate and would no longer be recognized as a prophet by the people. So the question they brought up was a dilemma that neither answered this way nor answered that way.


But who is Jesus? Isn't He God Himself? The Lord, knowing their evil intent, said, "You hypocrites, why are you trying to trap me?" (18). Taking a denarius used for paying the tax, He asked them, “Whose image is this? And whose inscription?” (20).

The original word for hypocrites as spoken by the Lord means ‘actors’ who wear masks and perform. They used all sorts of flattering words to induce the Lord to break the boundaries and so He would speak His mind (16), but the Lord knew their hearts that were different inside and outside and directly accused their duality.


His talk is smooth as butter, yet war is in his heart;

his words are more soothing than oil, yet they are drawn swords

(Psalm 55:21)


This confession of the psalmist's seems to be referring to these Pharisees.


Tiberius Caesar Augustus was the second Roman Emperor, and at that time, the Denarion silver coin had his face and the inscription "Caesar Augustus Tiberius, dignified son of the divine god". And on the back, it said that the Latin words gods of the extremely high priest Pontifex Maximus and a picture of the emperor's mother sitting on the throne was engraved.

Obviously the Jews could not like these idolatrous currencies. However, during the Passover period, everyone and even the Pharisees carried a denarion for economic activity. We can see just how much they are living a pretended life because when Jesus asked for a denarion, they showed it to Him right away.


The Lord leaves one of the most famous Bible verses here, saying so give back to Caesar what is Caesar’s, and to God what is God’s (21). Originally, Caesar was the name of the first emperor, Julius Caesar, which later became the name of all Roman emperors. Jesus tells the Pharisees to give Caesar's things to Caesar, as they said with their mouths, and to give God what belongs to God. This is a wise answer to a silly question (愚問賢答). They could no longer say anything and were completely KO’d.

Jesus' words are clear, and at the same time profound. How can we determine what belongs to Caesar, and what belongs to God? Is it right to pay Roman taxes? Or is it right to resist it? In fact, these questions are also the dilemma of modern Christians living among human governments in a world where politics and religion are separated.


Through wise answers, the Lord teaches us that the life of the Christians He wants is far from the lives of king Herod and Herodians who compromise with the world. Nor are the lives of the foolish Zealots who fell in the shadow of nationalism and hence do not see God working through the flow of history.

There is no regime (power) or any existence in this world that does not belong to God. Also, it is the consistent idea[1] of ​​the Bible that all regimes originate from God. Therefore, if what the government does is not clearly contrary to the Bible, cooperating with the government and following the organization, system, and order should be the attitude of Christians as members of the world (read Romans 13:1 and 1 Peter 2:13-14). If the government's work is actually against the Bible, however, it will require wise resistance by the biblical method.


The Lord said that the Christians are the salt and light of the world. If the salt is left as it is, it will never be salty. Whether water or food is mixed and dissolved, in other words, it can taste salty only when its shape disappears and dissolves. However, just because the shape is gone, the existence itself must not disappear. When water is evaporated from the brine, only the salt remains. This is called precipitation.

Christians may not be apparent in the world just like when salt is dissolved in water, but they still have to play a role in keeping the world incorruptible.


We also have to season the world so that it tastes good (make it a great place to live).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become like the world and cease to exist at all. We are the beings that can be dissolved well in the world, and at the same time being able to precipitate out of the world at any time. That's right! Christians are called out of the world, and sent to the world. We must become this holy being in the world.


  • Let everyone be subject to the governing authorities, for there is no authority except that which God has established. The authorities that exist have been established by God (Romans 13:1)

  • Submit yourselves for the Lord’s sake to every human authority: whether to the emperor, as the supreme authority, 14 or to governors, who are sent by him to punish those who do wrong and to commend those who do right (1 Peter 2:13-14)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