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제가 죄를 범하거든 (눅 17:3)
(15) 네 형제가 죄를 범하거든 가서 너와 그 사람과만 상대하여 권고하라 만일 들으면 네가 네 형제를 얻은 것이요
(16) 만일 듣지 않거든 한두 사람을 데리고 가서 두세 증인의 입으로 말마다 확증하게 하라
(17) 만일 그들의 말도 듣지 않거든 교회에 말하고 교회의 말도 듣지 않거든 이방인과 세리와 같이 여기라
(18)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무엇이든지 너희가 땅에서 매면 하늘에서도 매일 것이요 무엇이든지 땅에서 풀면 하늘에서도 풀리리라
(19) 진실로 다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중의 두 사람이 땅에서 합심하여 무엇이든지 구하면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께서 그들을 위하여 이루게 하시리라
(20) 두세 사람이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그들 중에 있느니라
용서할 줄 모르는 종 비유
(21) 그 때에 베드로가 나아와 이르되 주여 형제가 내게 죄를 범하면 몇 번이나 용서하여 주리이까 일곱 번까지 하오리이까
(22) 예수께서 이르시되 네게 이르노니 일곱 번뿐 아니라 일곱 번을 일흔 번까지라도 할지니라
(23) 그러므로 천국은 그 종들과 결산하려 하던 어떤 임금과 같으니
(24) 결산할 때에 만 달란트 빚진 자 하나를 데려오매
(25) 갚을 것이 없는지라 주인이 명하여 그 몸과 아내와 자식들과 모든 소유를 다 팔아 갚게 하라 하니
(26) 그 종이 엎드려 절하며 이르되 내게 참으소서 다 갚으리이다 하거늘
(27) 그 종의 주인이 불쌍히 여겨 놓아 보내며 그 빚을 탕감하여 주었더니
(28) 그 종이 나가서 자기에게 백 데나리온 빚진 동료 한 사람을 만나 붙들어 목을 잡고 이르되 빚을 갚으라 하매
(29) 그 동료가 엎드려 간구하여 이르되 나에게 참아 주소서 갚으리이다 하되
(30) 허락하지 아니하고 이에 가서 그가 빚을 갚도록 옥에 가두거늘
(31) 그 동료들이 그것을 보고 몹시 딱하게 여겨 주인에게 가서 그 일을 다 알리니
(32) 이에 주인이 그를 불러다가 말하되 악한 종아 네가 빌기에 내가 네 빚을 전부 탕감하여 주었거늘
(33) 내가 너를 불쌍히 여김과 같이 너도 네 동료를 불쌍히 여김이 마땅하지 아니하냐 하고
(34) 주인이 노하여 그 빚을 다 갚도록 그를 옥졸들에게 넘기니라
(35) 너희가 각각 마음으로부터 형제를 용서하지 아니하면 나의 하늘 아버지께서도 너희에게 이와 같이 하시리라
공동체에서 성도들은 겸손하며, 연약한 자를 배려하여 실족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잃은 영혼을 소중히 여겨 찾아 나서야 함을 배웠습니다. 이제는 범죄한 자에 대한 처리의 문제와 용서의 문제에 대해서 주님은 말씀 하십니다.
형제가 죄를 범하거든 (15-20절)
믿음이 연약한 자나 불신자들이 교회를 신뢰하지 못하는 경우 중에 하나가 자신의 부끄러운 점이 공동체 안에 너무 쉽게 전파 되는 것입니다. 어떤 경우에도 이것은 옳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이 현재 죄를 범하고 있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칼빈은 본문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주께서 이 교훈을 말씀해 주지 않으셨다면, 교회가 범죄한 신도들은 눈 감아 주게 되고
악한 자는 더 악하게 되어 교회는 타락하고 말았을 것이다. 그러나 주께서는 아주
건전하게 중용의 도로 교훈 하셔서 건설적으로 문제 해결을 보게 하셨다.
범죄에 대해서 권징Discipline하는 것은 교회의 거룩성을 지키며, 성도들의 신앙을 바르게 지도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교회법입니다. 하지만 그것을 행함에 있어서는 몇 가지 원칙이 필요합니다.
그 첫 번째는 범죄한 성도를 여전히 형제로 여기며 권징 해야 합니다.
네 형제가 죄를 범하거든… 네가 형제를 얻은 것이요(15) 우리는 항상 너무 쉽게 범죄한 자를 정죄합니다. 물론 죄는 분명히 지적 받고 회개하고, 벌을 달게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주님은 범죄한 사람에 대해서 네 형제 라는 호칭을 사용합니다. 이것은 아주 중요한 점을 시사합니다. 특별히 네가 형제를 얻은 것 이라는 표현을 통해 권징의 목적이 형제를 잃기 위함이 아닌 얻기 위함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권징은 절차에 따라 해야 합니다.
성도들의 안 좋은 습성 중 하나는 말이 빠른 것입니다. 제대로 죄를 살피고, 교회 법에 따라 권징을 하기도 전에 공동체에 소문이 난다면 범죄한 성도는 공동체에 발을 붙일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권징을 하기 위해서는 본문에서 주님이 말씀 하신 절차인 개인 대 개인, 두 세 증인 대 개인, 그리고 교회 대 개인의 순서로 범죄한 형제를 권고해야 합니다.
먼저 일대일로 만나서 권고합니다. 권고(엘렝코elenxo)는 죄를 꾸짖는다 는 의미가 아닌 노출시키다, 빛을 가져오다 라는 의미로 자신의 죄에 대한 죄책을 확신을 준다는 의미입니다. 개인적으로 조용히 말했을 때 상대방이 죄를 인정하고 지적을 수용한다면 할렐루야 입니다! 하지만 그가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에는 두 세 증인과 함께 말을 하여 범죄한 형제가 죄를 범하고 있음을 확증(16) 합니다.
그래도 인정하지 않을 경우 교회에 말하여, 교회에서 공식적으로 권고를 합니다.
그래도 죄를 인정하지 않고 회개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방인과 세리 같이 여기라(17) 고 하십니다.
이는 공동체에서 공식적으로 출교Excommunication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교회에 주신 이 권세(18절)는 베드로에게 말씀 하셨던 천국 열쇠의 권세와 동일한 것입니다.
예수님은 두 사람 사이에 토라(율법)의 말씀이 이야기 되는 곳에 하나님의 영광이 그곳에 함께 있다 는 유대 랍비의 속담집을 인용하여, 예수님의 이름으로 모이는 최소의 공동체에 대해서 축복하십니다.
예수님의 이름으로 모인 공동체가 영광을 유지하는 비결은 그 거룩성을 지키는 것에 있습니다.
그리고 세상과 구별되는 그 거룩성은 모든 성도들의 개인의 삶의 거룩에서 비롯됩니다.
헨드릭슨William Hendriksen은 본문을 다음과 같이 결론 짓습니다.
교회에서 심지어 출교하는 권징도 따지고 보면 하나님의 은혜로 범죄한 자들의 회개를
가져오기 위한 목적으로 한다. 권징의 결핍은 어떤 교회이든 간에 하나의 저주가 된다.
만 달란트 vs 백 데나리온, 용서의 문제 (21-35절)
그 때에(21)는 주님이 범죄한 자에 권징에 대해서 말씀 하신 때입니다. 베드로 사도가 이번에도 주님께 여쭙니다. 주여 형제가 내게 죄를 범하면 몇 번이나 용서하여 주리이까? 일곱 번까지 하오리까?(21b)
당시 유대 랍비는 3번까지는 용서를 하지만 4번째는 절대 용서하지 말아야 한다고 가르쳤습니다. 그러니 베드로가 제시한 완전수인 7회 용서하는 것은 주님께 은근히 칭찬을 기대한 질문인 것입니다.
그러자 주님은 일곱 번을 일흔 번까지라도(22b)라도 용서할 것을 말씀 하십니다.
사실 같은 죄를 490번 용서한다는 것은 무한적인 용서를 의미합니다.
이어서 주님은 용서와 관련한 천국의 결산에 대해서 비유로 말씀 합니다.
만 달란트 빚진 자가 결산하는 임금 앞에 붙잡혀 옵니다. 하지만 그는 갚을 능력이 없습니다.
그러자 왕은 그를 불쌍히 여겨(27) 놓아 보내주고 빚을 탕감해 줍니다. 그런데 만 달란트 빚진 자가 풀려나 가던 중에 자신에게 백 데나리온 빚진 자를 만나자 그의 목을 붙잡아 옥에 가둡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왕은 만 달란트 빚진 자를 다시 잡아와서 빚을 모두 갚을 때까지 옥에 가둡니다.
이 비유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당시 화폐단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데나리온은 당시 노동자의 하루 품삯입니다. 오늘날로 치자면 일반적으로 $100~200 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 백 데나리온은 100일치 품삯으로 $10,000~20,000 에 이르는 결코 작은 돈은 아닙니다.
하지만 달란트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닌 미미한 것이 됩니다. 한 달란트는 6000 데나리온에 해당합니다.
6000일에 해당하는 임금으로 20년치 노동자 임금에 해당합니다. 당시 로마가 팔레스타인 지역인 사마리아, 갈릴리, 베뢰아 에서 거둔 세금이 800달란트입니다. 만 달란트는 이에 10배가 넘는 돈입니다. 만 달란트는 노동자 한 사람이 18만년에서 20만년을 벌어야 하는 돈입니다. 그가 어떻게 이런 빚을 졌는지는 모르겠지만, 절대로 벌 수도 없고, 갚을 수도 없는 빚입니다.
주님은 우리가 하나님께 얼마나 크고 많은 죄를 용서 받았는지 모르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받는 상처가 큰 것이 분명하지만, 주님께 받은 용서는 가히 비할 수 없을 정도로 큽니다.
진정한 용서는 내가 받은 은혜를 헤아려보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예수님이 오늘 우리에게 눈물 글썽이며 물어보십니다. 내가 너를 불쌍히 여김과 같이 너도 네 동료를 불쌍히 여김이 마땅하지 아니하냐(33)
범죄한 형제가 죄를 깨닫고 회개한다면 우리 역시 당연히 그를 용서하고 받아야 합니다.
범죄한 자에 대한 권징도 나에게 범죄한 자에 대한 용서도 결국 같은 뿌리에서 나옵니다.
20만년을 일해도 갚을 수 없는 은혜 에서 말입니다. 이 은혜를 잊지 맙시다!
Dealing With Sin in the Church
15 “If your brother or sister sins, go and point out their fault, just between the two of you. If they listen to you, you have won them over. 16 But if they will not listen, take one or two others along, so that ‘every matter may be established by the testimony of two or three witnesses.’ 17 If they still refuse to listen, tell it to the church; and if they refuse to listen even to the church, treat them as you would a pagan or a tax collector.
18 “Truly I tell you, whatever you bind on earth will be bound in heaven, and whatever you loose on earth will be loosed in heaven.
19 “Again, truly I tell you that if two of you on earth agree about anything they ask for, it will be done for them by my Father in heaven. 20 For where two or three gather in my name, there am I with them.”
The Parable of the Unmerciful Servant
21 Then Peter came to Jesus and asked, “Lord, how many times shall I forgive my brother or sister who sins against me? Up to seven times?”
22 Jesus answered, “I tell you, not seven times, but seventy-seven times.
23 “Therefore, the kingdom of heaven is like a king who wanted to settle accounts with his servants. 24 As he began the settlement, a man who owed him ten thousand bags of gold was brought to him. 25 Since he was not able to pay, the master ordered that he and his wife and his children and all that he had be sold to repay the debt.
26 “At this the servant fell on his knees before him. ‘Be patient with me,’ he begged, ‘and I will pay back everything.’ 27 The servant’s master took pity on him, canceled the debt and let him go.
28 “But when that servant went out, he found one of his fellow servants who owed him a hundred silver coins. He grabbed him and began to choke him. ‘Pay back what you owe me!’ he demanded.
29 “His fellow servant fell to his knees and begged him, ‘Be patient with me, and I will pay it back.’
30 “But he refused. Instead, he went off and had the man thrown into prison until he could pay the debt. 31 When the other servants saw what had happened, they were outraged and went and told their master everything that had happened.
32 “Then the master called the servant in. ‘You wicked servant,’ he said, ‘I canceled all that debt of yours because you begged me to. 33 Shouldn’t you have had mercy on your fellow servant just as I had on you?’ 34 In anger his master handed him over to the jailers to be tortured, until he should pay back all he owed.
35 “This is how my heavenly Father will treat each of you unless you forgive your brother or sister from your heart.”
* The correct title of today's devotional is
"The Grace that cannot be paid back even after Working 200K Years”
In the church, Christians are taught to be humble and considerate of the weak so as not to cause sin, and seek out lost souls. Now the Lord speaks of the matters of forgiveness and dealing with those who have sinned.
When a brother sins (verses 15-20) The reason for the weak in faith or unbelievers cannot trust the church is because the church is spreading their shame too easily. Whatever the reason, it is not right. Then, what should we do if someone is committing a sin? Calvin said as follows:
If the Lord didn’t tell us this lesson, the members of the church close eyes to those who had sinned. The wicked would have become worse and the church would have fallen. But the Lord taught us the way of sound moderation so that we could solve problem constructively.
Discipline for crime protects the holiness of the church and can guide the faith of the church members correctly. But we need to follow a few principles.
First, still consider the guilty church member as brother and discipline him. If your brother sins... You have won the brother over (15). We always condemn those who sin too easily. Of course, sin must be clearly pointed out, repented, and punished. However, the Lord used the title of “your brother” for him who have sinned. This suggests a very important point. In particular, the expression that “you have won a brother over” shows that the purpose of discipline is not to lose a brother, but to obtain him.
Second, discipline must follow the procedure. One of the bad habits of church members is that they speak quickly. If there is a rumor in the church community before he has properly investigated and disciplined according to church law, the guilty believer cannot set foot in the church community.
Therefore, in order to be disciplined, we must advise the sinful brother in the order of the Lord's words in this scripture: person to person, two or three witnesses versus individual, and then church versus individual. First, Advise him by meeting one-on-one. Exhortation (elenxo) does not mean to condemn, but to expose, to bring light. It means to convince his guilt for his sin. It is Hallelujah if the person admits the sin and accepts the criticism when speaking quietly personally! However, if he does not accept, then speaks with two or three witnesses to confirm that the guilty brother committed sin (16).
If he still refuse to listen, tell the church and make an official discipline by the church.
Still, if he does not admit his sin and does not repent, treat him as a pagan or a tax collector(17).
This means official excommunication from the church community.
This authority given to the church (v. 18) is the same as the authority of the key of heaven that Jesus spoke to Peter.
Jesus blessed the least community gathered in the name of Jesus, citing the Jewish rabbi's proverb that the glory of God is there where the words of the Torah are spoken between the two. The secret to maintaining the glory of the church community gathered in the name of Jesus is to keep its holiness.
And the holiness that sets apart from the world comes from the holiness of the personal lives of all saints.
William Hendriksen concludes this scripture as follows:
Even church discipline, it is God’s grace to bring the repentance of those who have sinned. The lack of discipline becomes a curse in any church.
Ten thousand talents vs one hundred denarions, the matter of forgiveness (verses 21-35) Then (21) is the time when the Lord spoke about discipline to those who have sinned. The Apostle Peter asked the Lord again. Lord, how many times will I forgive my brother if he sins against me? Will I do it up to seven times? (21b)
At that time, the Jewish rabbi taught that forgiveness up to number three, but never to forgive the fourth time. So, to forgive the perfect number seven times that Peter suggested is a question that secretly expected praise from the Lord.
Then the Lord told him to forgive not seven times, but seventy-seven times (22b).
In fact, to forgive the same sin 490 times means infinite forgiveness.
Next, the Lord speaks in a parable about the settlement of heaven related to forgiveness.
The debtor of 10,000 talents was caught and brought in front of king who settle accounts. But he was not capable of paying back.
The king then took pity on him, (27) released him, and relieved his debt. But while the ten thousand talent debtor was being released, he met a person who owed him a hundred denarii, grabbed him by the neck and put him in prison.
Upon learning of this, the king took the ten thousand talent debtor back and put him in prison until all his debts were paid off.
To properly understand this metaphor, we need to understand the currency unit at that time.
Denalii was a worker's daily wage. Today, it's typically between $100 ~ 200. So, a hundred denarii is by no means a small amount of money, ranging from $10,000 to 20,000 in 100-day wages.
However, compared to talents, it is nothing, very insignificant. One talent is equivalent to 6000 denarii. It is a wage equivalent to 6000 days, which is equivalent to a worker's wage of 20 years. At that time, the tax collected by Rome in the Palestinian regions of Samaria, Galilee and Berea was 800 talents. Ten thousand talents are more than 10 times this money. Ten thousand talents are money that each worker must earn between 180,000 and 200,000 years. I don't know how he owed this much debt, but he was a debtor that he could never earn and pay off.
The Lord wants us to know how great and many sins we have forgiven by God. It is clear that the wounds we receive from others are great, but the forgiveness we receive from the Lord is incomparable.
True forgiveness begins with counting the graces I have received. Jesus questions us today with tears. Shouldn’t you have had mercy on your fellow servant just as I had on you? (33)
If a guilty brother convicts of sin and repents, we must also forgive and receive him.
Both discipline and forgiveness for those who have sinned against me come from the same root.
It is from the grace that cannot be paid back even after working 200,000 years. Let's not forget this grac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