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 1:1)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라
(2) 아브라함이 이삭을 낳고 이삭은 야곱을 낳고 야곱은 유다와 그의 형제들을 낳고
(3) 유다는 다말에게서 베레스와 세라를 낳고 베레스는 헤스론을 낳고 헤스론은 람을 낳고
(4) 람은 아미나답을 낳고 아미나답은 나손을 낳고 나손은 살몬을 낳고
(5) 살몬은 라합에게서 보아스를 낳고 보아스는 룻에게서 오벳을 낳고 오벳은 이새를 낳고
(6) 이새는 다윗 왕을 낳으니라 다윗은 우리야의 아내에게서 솔로몬을 낳고
(7) 솔로몬은 르호보암을 낳고 르호보암은 아비야를 낳고 아비야는 아사를 낳고
(8) 아사는 여호사밧을 낳고 여호사밧은 요람을 낳고 요람은 웃시야를 낳고
(9) 웃시야는 요담을 낳고 요담은 아하스를 낳고 아하스는 히스기야를 낳고
(10) 히스기야는 므낫세를 낳고 므낫세는 아몬을 낳고 아몬은 요시야를 낳고
(11) 바벨론으로 사로잡혀 갈 때에 요시야는 여고냐와 그의 형제들을 낳으니라
(12) 바벨론으로 사로잡혀 간 후에 여고냐는 스알디엘을 낳고 스알디엘은 스룹바벨을 낳고
(13) 스룹바벨은 아비훗을 낳고 아비훗은 엘리아김을 낳고 엘리아김은 아소르를 낳고
(14) 아소르는 사독을 낳고 사독은 아킴을 낳고 아킴은 엘리웃을 낳고
(15) 엘리웃은 엘르아살을 낳고 엘르아살은 맛단을 낳고 맛단은 야곱을 낳고
(16) 야곱은 마리아의 남편 요셉을 낳았으니 마리아에게서 그리스도라 칭하는 예수가 나시니라
(17) 그런즉 모든 대 수가 아브라함부터 다윗까지 열네 대요 다윗부터 바벨론으로 사로잡혀 갈 때까지 열네 대요 바벨론으로 사로잡혀 간 후부터 그리스도까지 열네 대더라
마태복음은 매우 친숙한 복음서입니다. 보통 새해 성경읽기를 결심하고 도전하면 주로 펼치는 성경이 마태복음인데, 그 조차 누가 누구를 낳고를 읽으며 도대체 왜 남의 족보까지? 라는 의문이 들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하심을 입은 자들에 의해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쓸데없는 것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오늘 본문에 등장하는 족보가 우리에게 무엇을 이야기 해주는지 살펴봅시다.
마태복음의 저자는 12사도 중 한명인 세리 레위 마태(눅 5:27-28)이고, 저자의 이름을 따서 마태복음으로 부릅니다. 예전에는 전통적으로 가장 오래된(A.D. 50년경) 복음서라고 여겨졌지만, 요즘은 가장 짧은 복음서인 마가복음이 가장 먼저(A.D.65년) 기록된 복음서라는 의견이 모아집니다. 마태복음은 A.D.70년 경에 기록되었습니다. 신약성경에 가장 먼저 등장하는 것은 사도가 기록한 복음서이기 때문입니다.
마태복음은 왕으로 오신 예수가 핵심메시지, 그래서 백수의 왕인 사자복음 이라는 별명이 있습니다.
공관복음서는 서신서들이나 요한복음과는 달리 원 독자가 누구인지를 밝히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아마도 마태 공동체는 초대교회 이방 선교의 기지였던 수리아의 안디옥에 모인 유대인 기독교인들 것이라 추정합니다.
그래서 마태복음은 가장 구약적인 복음서(구약인용 횟수, 마93/막49/눅80/요33)입니다.
두드러진 특징은 10회에 걸쳐 등장하는 소위 선지자로 하신… 말씀을 이루려 하심이라 (1:22-23, 2;15; 17-18; 23, 4:14-16, 8:17, 12:17-21, 13:35, 21:4-5, 27:9-10)는 성취 형식 인용구 입니다.
또한 왕으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의 5편의 설교로 구성된 것이 마태복음입니다. 신약의 모세오경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산상수훈(5-7), 12제자 파송(10), 천국비유(13), 천국에서 큰 자(18), 종말(24-25)의 설교들은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통치의 원리와 삶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이것은 자연스럽게 하나님 나라에 대한 집중과 관심을 유도합니다.
이스라엘의 왕 예수 그리스도
예수님의 족보가 먼저 우리에게 알려주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왕이라는 사실입니다.
마태는 유대인을 향한 복음서답게 유대인의 족보로 시작하는데, 그것도 혈통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아브라함과 다윗으로 시작합니다. 특별히 이 족보는 수미쌍관법Inclusio으로 열고, 닫습니다. 원문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순서입니다. 예수 그리스도 – 다윗 - 아브라함(1절) 아브라함- 다윗 – 예수 그리스도(17절). 이는 예수가 아브라함의 자손이요, 다윗의 왕가를 잇는 메시야이심을 입증하는 신학적 선언문의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마태가 가장 신경을 쓴 것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다윗 왕가의 계보를 잇는 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마태는 의도적으로 14X14X14대로 끊어서 기록하고 있습니다. 의도적인 이 숫자는 완전수 7X2=14의 3번 반복으로 모든 구약을 완성하시는 이가 예수이심을 말해줍니다.
이 족보에서 좀 특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8절 요람(여호람)과 웃시야 사이에 실제 족보에서 4명의 왕이 빠집니다. 그들이 누군지 궁금해집니다.
6대 아하시야 왕은 어머니 아달랴의 꾐에 빠져 우상숭배를 하다, 결국 예후에 의해 죽습니다(왕하 9:27).
그러자 그의 어머니 아달랴(여호람/요람의 부인이자 아합과 아세벨의 딸)는 다윗 가문의 아들들을
다 죽이고, 자신의 손자들까지 죽입니다. 그리고 6년 동안 유다의 7대 왕 노릇을 합니다.
친할머니의 살륙 가운데 요아스(8대 왕)는 고모인 여호사브아(여호세바)와 고모부 제사장 여호야다의 도움으로 생존합니다. 그는 제사장 여호야다의 도움으로 아달랴를 제거하고, 7살에 왕권을 차지합니다. 그러나 멘토인 고모부 여호야다가 죽자 급격하게 타락하여 우상숭배를 하며, 그를 지적하는 스가랴 선지자를 돌로 쳐 죽입니다. 결국 그는 부하들에 손에 생을 마감합니다.
그의 아들 아마샤가 유다의 9대 왕이 되지만, 아버지와 같이 처음에는 잘 하다가 결국 우상숭배의 길에 빠져 교만해져 북이스라엘과 싸워 패한 후 나중에 역시 반역자들에 의해 살해됩니다.
마태는 북이스라엘의 최악의 왕 아합의 영향을 받은 유다왕 4명을 의도적으로 제외한 것입니다. 사탄은 아합가의 딸인 아달랴를 통해서 완전히 다윗 왕 가문을 끊어버리려 했던 것입니다. 놀랍지 않습니까? 예나 지금이나 사탄은 계속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세계를 끊으려 하고,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를 이어 가십니다. 이것이 영적인 전쟁입니다.
여성들의 중요함을 느끼는 본문이 바로 오늘 족보입니다. 아달랴라는 한 여성으로 인하여 하나님의 나라인 이스라엘이 완전히 멸망할 뻔한 사건이 바로 족보에 드러납니다.
죄인들의 왕 예수 그리스도
예수님의 족보가 두 번째로 알려주는 것은 그리스도의 족보가 죄인들의 족보라는 사실입니다.
비록 마태복음이 유대인을 위한 복음이라지만 과연 유대인만 위한 복음이라는 것이 있을까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누가가 기록한 족보는 이방인들 위한 족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마태 역시 강력하게 예수님이 소외된 자와 온 인류, 곧 이방인에게까지 왕이심을 말한다.
집중해서 보아야 할 족보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있습니다. 동일한 패턴의 표현입니다.
유다는 다말에게서(3), 살몬은 라합에게서(5), 보아스는 룻에게서(5), 다윗은 우리야의 아내에게서(6)
공통점은 이방인(가나안, 여리고, 모압, 헷), 여성, 죄악(며느리, 기생, 형사취수, 남의 아내) 입니다.
심지어 밧세바는 이름도 없고, 왕족도 아닌 그의 남편 우리아의 이름이 예수의 족보에 있습니다!!
예수님의 이 족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연약함, 부정함, 죄악 투성의 족보라는 것이다.
그런데 그 가운데에 거룩의 본체이신 예수님이 오신 것입니다! 할렐루야! 이것이 말로 설명이 될까요? 이것이야말로 은혜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는 은혜 자체를 말해줍니다.
그럼에도 그 분이 왕이요, 메시야로서 자격을 잃지 않는 비밀이 16절입니다. 요셉은 마리아에게서 그리스도라 칭하는 예수를 낳은 것이 아닙니다. 요셉과 예수님은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마리아에게서 그리스도라 칭하는 예수가 나시니라(16) 인간의 족보는 그저 유대인들의 관념을 위한 것일 뿐입니다.
실상은 아무 상관없이 그리스도 스스로의 세계요, 계보를 만들어 가신 것입니다.
우리가 유대인들처럼 자랑하는 나의 족보는 무엇인가요? 그것을 모두 버리셔야 합니다.
거룩하다고, 잘났다고 자랑하지만 실상은 죄악투성인 인생이요, 그것이 우리 인간의 족보입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연약하지만 하나님을 믿고 사랑하는 자들을 통해서 완성해 가심을 볼 수 있습니다. 2021년 하나님의 나라는 계속 지어져 갑니다.
우리도 위대한 여성 다말, 라합, 룻 그리고 마리아, 또한 위대한 남성 우리야 처럼 쓰임 받기를 원합니다.
The Genealogy of Jesus the Messiah
1 This is the genealogy of Jesus the Messiah the son of David, the son of Abraham:
2 Abraham was the father of Isaac, Isaac the father of Jacob, Jacob the father of Judah and his brothers, 3 Judah the father of Perez and Zerah, whose mother was Tamar, Perez the father of Hezron, Hezron the father of Ram, 4 Ram the father of Amminadab, Amminadab the father of Nahshon, Nahshon the father of Salmon, 5 Salmon the father of Boaz, whose mother was Rahab, Boaz the father of Obed, whose mother was Ruth, Obed the father of Jesse, 6 and Jesse the father of King David.
David was the father of Solomon, whose mother had been Uriah’s wife, 7 Solomon the father of Rehoboam, Rehoboam the father of Abijah, Abijah the father of Asa, 8 Asa the father of Jehoshaphat, Jehoshaphat the father of Jehoram, Jehoram the father of Uzziah, 9 Uzziah the father of Jotham, Jotham the father of Ahaz, Ahaz the father of Hezekiah, 10 Hezekiah the father of Manasseh, Manasseh the father of Amon, Amon the father of Josiah, 11 and Josiah the father of Jeconiah and his brothers at the time of the exile to Babylon.
12 After the exile to Babylon:
Jeconiah was the father of Shealtiel, Shealtiel the father of Zerubbabel, 13 Zerubbabel the father of Abihud, Abihud the father of Eliakim, Eliakim the father of Azor, 14 Azor the father of Zadok, Zadok the father of Akim, Akim the father of Elihud, 15 Elihud the father of Eleazar, Eleazar the father of Matthan, Matthan the father of Jacob, 16 and Jacob the father of Joseph, the husband of Mary, and Mary was the mother of Jesus who is called the Messiah.
17 Thus there were fourteen generations in all from Abraham to David, fourteen from David to the exile to Babylon, and fourteen from the exile to the Messiah.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