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그런즉 우리가 무슨 말을 하리요 율법이 죄냐 그럴 수 없느니라 율법으로 말미암지 않고는 내가 죄를 알지 못하였으니 곧 율법이 탐내지 말라 하지 아니하였더라면 내가 탐심을 알지 못하였으리라
8 그러나 죄가 기회를 타서 계명으로 말미암아 내 속에서 온갖 탐심을 이루었나니 이는 율법이 없으면 죄가 죽은 것임이라
9 전에 율법을 깨닫지 못했을 때에는 내가 살았더니 계명이 이르매 죄는 살아나고 나는 죽었도다
10 생명에 이르게 할 그 계명이 내게 대하여 도리어 사망에 이르게 하는 것이 되었도다
11 죄가 기회를 타서 계명으로 말미암아 나를 속이고 그것으로 나를 죽였는지라
12 이로 보건대 율법은 거룩하고 계명도 거룩하고 의로우며 선하도다
13 그런즉 선한 것이 내게 사망이 되었느냐 그럴 수 없느니라 오직 죄가 죄로 드러나기 위하여 선한 그것으로 말미암아 나를 죽게 만들었으니 이는 계명으로 말미암아 죄로 심히 죄 되게 하려 함이라
14 우리가 율법은 신령한 줄 알거니와 나는 육신에 속하여 죄 아래에 팔렸도다
15 내가 행하는 것을 내가 알지 못하노니 곧 내가 원하는 것은 행하지 아니하고 도리어 미워하는 것을 행함이라
16 만일 내가 원하지 아니하는 그것을 행하면 내가 이로써 율법이 선한 것을 시인하노니
17 이제는 그것을 행하는 자가 내가 아니요 내 속에 거하는 죄니라
18 내 속 곧 내 육신에 선한 것이 거하지 아니하는 줄을 아노니 원함은 내게 있으나 선을 행하는 것은 없노라
19 내가 원하는 바 선은 행하지 아니하고 도리어 원하지 아니하는 바 악을 행하는도다
20 만일 내가 원하지 아니하는 그것을 하면 이를 행하는 자는 내가 아니요 내 속에 거하는 죄니라
21 그러므로 내가 한 법을 깨달았노니 곧 선을 행하기 원하는 나에게 악이 함께 있는 것이로다
22 내 속사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즐거워하되
23 내 지체 속에서 한 다른 법이 내 마음의 법과 싸워 내 지체 속에 있는 죄의 법으로 나를 사로잡는 것을 보는도다
24 오호라 나는 곤고한 사람이로다 이 사망의 몸에서 누가 나를 건져내랴
25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감사하리로다 그런즉 내 자신이
마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육신으로는 죄의 법을 섬기노라
오늘 우리가 살펴 볼 로마서 7장은 인칭대명사 “나”(일인칭단수)로 가득차 있음을 보게 됩니다. 존 스토트John Stott 는 사실상 로마서 7장에 대한 논쟁은 본질적으로 이 ‘나’의 정체를 탐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고 말합니다. 바울이 말하는 “나”는 도대체 누구인가? 이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의견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크게 바울, 아담, 그리고 이스라엘 3가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바울 자신의 신앙적인 경험을 이야기 하는 것이라는 의견과 인류의 대표인 아담이나 이스라엘의 입장을 대신 이야기한다는 의견입니다. 사실 어느 것 하나 신학적으로 완전하게 설명해주는 것은 없습니다. 예를 들면 사도 바울 개인의 내면적 신앙의 갈등을 이야기 하는 것이라면, 14절에 나는 육신에 속하여 죄 아래 팔렸도다 라는 부분의 해석이 난해합니다. 이미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합하여 죄의 종에서 벗어난 바울이 아직도 죄 아래 있단 말인가? 라는 의문을 자아냅니다. 과연 14절 이후에 등장하는 “나”는 중생한 사람인가? 이것 역시 중생하지 못한 자(Origen), 중생하고 성화의 내적 갈등을 하는 성숙한 그리스도인(Augustine), 둘 다 아니고(Martin Lloyd Jones)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 사이에 걸려 있는 성도(Dunn), 구약의 신자, 곧 율법 아래 살고 있는 아스라엘(John Stott) 이라는 다양한 의견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일반적으로 한국교회가 취하고 있는 어거스틴의 의견을 따릅니다. 그렇다면 결국 로마서 7장의 “나”는 사도 바울 개인의 실제적인 고백이 되는 것입니다. 물론 여기서 “나”는 이스라엘, 심지어 바로 우리 자신으로 확장 될 수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율법에서 벗어난 사람이 어떻게 마치 죄의 종처럼 갈등하고 살 수 있을까? 사실 신학적으로는 어렵지만 실제적, 경험적으로 해석하면 오히려 쉽습니다. 왜냐하면 매일 우리 삶에 일어나고 있는 일이니까요. 나는 분명히 율법(말씀)을 사랑하고, 예수를 믿어 구원을 받은 것을 확신하지만, 동시에 매일 강력한 육신의 욕망의 도전 아래 때때로 속절없이 무너지는 삶을 경험하니까요. 이것이 우리 그리스도인의 삶이 아닌가요? 결국 아담이 바울이고, 바울이 내 자신인 것입니다. 7-13절 율법과 죄의 관계 사도 바울은 지금까지 율법을 매우 부정적으로 묘사(5절) 했습니다. 이제 사도 바울은 율법의 위치를 바로 잡습니다. 결코 율법 자체는 죄가 아닙니다! 오히려 하나님의 말씀인 율법은 그 자체로 거룩하고 의롭고, 선하며(12절) 신령한(14절) 것입니다. 율법이 하는 일은 죄를 깨닫게 하는 기준이 될 뿐입니다. 탐내지 말라는 율법이 없으면 탐심 자체가 죄가 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 할 것입니다. 선악과를 먹지 말라는 하나님의 율법이 없었다면, 선악과를 탐하는 마음이 죄라는 것 조차 몰랐을 것입니다. 하지만 죄(사탄)는 기회를 엿보고 율법을 들먹이며 내(아담) 속에서 온갖 탐심을 이루었습니다. 만일 율법이 없었다면 죄를 죄로 몰랐을 것입니다. 진정으로 율법의 의미를 몰랐을 때는 내가 살아 있었습니다. 무슨 말인가요? 자기 의를 말하는 것입니다. 사도 바울 역시 예수를 만나기 전에는 자신이 율법을 잘 지킨다고 착각했습니다. 하지만 진짜 말씀을 알고서는 자신의 형편을 알게 됩니다. 고로 자신은 죽고, 내 안에 가득한 죄만 드러납니다(9절). 결국 율법은 나를 정죄하여 사망에 이르게 합니다. 죄가 율법으로 말미암아 나를 속이고 범죄하게 했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이 부분에서 사도 바울이 율법을 지킨다고 하면서 스데반 집사를 살해한 것을 염두하고 말한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고로 율법은 선합니다. 다만 죄로 심히 죄 되게 할 뿐입니다. 14-25절 성도의 실재Existence 바울은 나는 육신에 속하여 죄 아래에 팔렸도다 라고 고백합니다. 앞서 밝힌 것처럼 해석에 신학적인 어려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실존적, 실재적으로 성도들 역시 죄의 법 아래 놓였던 존재였고, 아무리 죄에 대하여 죽은 자로 여기지만, 여전히 죄의 권세가 살아서 우리를 협박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15절에서 사도는 마음 따로 몸 따로인 자신의 상황을 고백합니다. 위대한 사도의 고백이 당황스럽지만, 존 칼빈 John Calvin은 이것은 그리스도인이 겪는 육신과 성령 사이의 전투다 라고 해석합니다. 사실 이런 성도의 실재는 너무 자연스러운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의 죄는 더욱 율법을 선하고 옳은 것으로 증명합니다. 우리 안에 도사리는 죄는 에덴에서처럼 우리로 하여금 속사람이 마음으로 원하는 선한 것, 율법의 순종을 이루지 못하게 합니다. 결국 위대한 사도가 깨달은 영적인 진리는 우리 안에 선을 행하기 원하는 속사람이 있고, 그와 대적하는 지체의 한 다른 법이 있는데, 그것이 내 마음의 법과 싸워 내 지체 속에 있는 죄의 법으로 나를 굴복 시키려 하는 것입니다. 얼마나 이러한 상황이 괴로운지! 사도는 오호라 나는 곤고한 사람(비참한 존재)이로다! 라고 외칩니다. 아마도 선하게, 거룩하게 살려고 하면 할수록 더욱 이 비참함이 깊어지는 것을 경험했을 것입니다. 마치 시체와 같은 육신에서 과연 누가 나를 건져낼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한 해답이 8장입니다. 성화와 관련하여 성령의 역할을 제외한 인생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내 자신이 마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육신으로는 죄의 법을 섬기노라(25b절) 입니다. 이 절망적인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비결은 성령의 은혜입니다. 이것은 8장에서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릭 워렌Rick Warren은 회복으로 가는 길 이라는 책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합니다. 당신은 숙면을 취해야 할 시간인 줄 알면서도 밤을 지새우는가? 몸에 필요한 칼로리 이상으로 먹고 마시는가? 운동해야 하는 줄 알면서도 하지 않는가? 해야 할 옳은 일이 무엇인지 알면서도 하지 않는가? 잘못인 줄 알면서도 유혹에 빠지는가? 이기적이지 말아야 하는 줄 알면서도 이기적인가? 어떤 사람이나 어떤 것을 통제해 보려고 했지만 손 쓸 수 없었던 적이 있는가? 그리고는 이중에서 한가지라도 “예”라고 대답한다면, 우리는 모두 같은 성정을 가진 사람이라고 합니다. 그것은 바로 죄를 짓고 싶어하는 성질인 죄성Sinful Nature입니다. 예수를 믿는 순간 죄는 용서 받았지만, 여전히 육체에 남아 있는 죄의 습관이 죄성입니다. 그리고 평생 이것을 다루어 가는 과정이 성화입니다. 성령의 인도하심이 없이는 이 싸움은 백전백패입니다. 하지만 성령의 은혜를 구할 때 우리는 예수님처럼 끝까지 승리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겸손히 무릎으로 기도의 자리로 나가는 것은 어떨까요?
7 What shall we say, then? Is the law sinful? Certainly not! Nevertheless, I would not have known what sin was had it not been for the law. For I would not have known what coveting really was if the law had not said, “You shall not covet.” 8 But sin, seizing the opportunity afforded by the commandment, produced in me every kind of coveting. For apart from the law, sin was dead. 9 Once I was alive apart from the law; but when the commandment came, sin sprang to life and I died. 10 I found that the very commandment that was intended to bring life actually brought death. 11 For sin, seizing the opportunity afforded by the commandment, deceived me, and through the commandment put me to death. 12 So then, the law is holy, and the commandment is holy, righteous and good.
13 Did that which is good, then, become death to me? By no means! Nevertheless, in order that sin might be recognized as sin, it used what is good to bring about my death, so that through the commandment sin might become utterly sinful.
14 We know that the law is spiritual; but I am unspiritual, sold as a slave to sin. 15 I do not understand what I do. For what I want to do I do not do, but what I hate I do. 16 And if I do what I do not want to do, I agree that the law is good. 17 As it is, it is no longer I myself who do it, but it is sin living in me. 18 For I know that good itself does not dwell in me, that is, in my sinful nature. For I have the desire to do what is good, but I cannot carry it out. 19 For I do not do the good I want to do, but the evil I do not want to do—this I keep on doing. 20 Now if I do what I do not want to do, it is no longer I who do it, but it is sin living in me that does it.
21 So I find this law at work: Although I want to do good, evil is right there with me. 22 For in my inner being I delight in God’s law; 23 but I see another law at work in me, waging war against the law of my mind and making me a prisoner of the law of sin at work within me. 24 What a wretched man I am! Who will rescue me from this body that is subject to death? 25 Thanks be to God, who delivers me through Jesus Christ our Lord!
So then, I myself in my mind am a slave to God’s law, but in my sinful nature a slave to the law of sin.
Today’s scripture of Romans 7 includes multiple pronouns 'I' (first-person point of view).
John Stott claims in fact, the argument against Romans 7 can be seen as essentially exploring the identity of this 'I'. So who is this 'I' that Paul keeps mentioning? There are various opinions of scholars on this. Representatively Paul, Adam, and Israel are the three most common interpretations. Indeed, it is the opinion that Paul is talking about his own religious experience and that he is speaking instead of Adam's or Israel's representative positions.
Unfortunately there is no such theological commentary to fully explain this. For example, if we are talking about the inner conflict of faith of the Apostle Paul, but I am unspiritual, sold as a slave to sin (v14) is difficult to interpret. This raises a question: is Paul still under sin, freed from the slavery of sin, through the death of Jesus Christ? So then is the 'I' in verse 14 a born again Christian? Hence variety of opinions arise: One who has not been reborn (Origen), Born again Christian struggling with sanctification (Augustine), Neither (Martin Lloyed Jones), A saint caught between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Dunn), Israel, believers in the Old Testament, living under the Law (John Stott).
Personally, I prefer the interpretation of Augustine followed by most Korean churches. Then, in the end, 'I' in Romans 7 becomes a practical confession of the Apostle Paul. Of course, the 'I' here can be extended to Israel, or even to ourselves.
How can a person who believes in Jesus Christ and is released from the Law can live and conflict like a slave of sin?
It may be difficult to answer theologically, but it is rather simple to interpret empirically. Because it is happening in our lives every day. I definitely love the Law (the Word), and I am a firm believer and follower of Jesus, but simultaneously, every day, experience the challenge of strong physical desire that often collapses my life. Isn’t this our Christian life? Ultimately, Adam is Paul, and Paul is ourselves.
Verses 7-13 Relationship between the Law and Sin
Apostle Paul portrayed the Law very negatively up until verse 5. Now the Apostle Paul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Law. By no means the Law itself is a sin! The Law is the Word of God, holy and righteous, good (v12) and spiritual (v14).
What the Law does is only a criterion for convicting sin. If there was no law about “coveting” we would not realize that covetousness itself is a sin. Without God's Law not to eat from the fruits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we would not have even known that the desire to covet the fruit itself was sin. But sin (Satan) peeks at opportunities, utilizing the law, and has accomplished all kinds of greed in me (Adam). Without the Law, no one would have known sin as sin.
I was alive when I did not really know the meaning of the law. What does it mean? It speaks of self-righteousness.
Apostle Paul, before he met Jesus, also mistaken himself for keeping the law. After recognizing the Word, he clearly understood his circumstances. Therefore sin sprang to life and he died (v9).
Eventually, the law condemns and leads us to death. Because sin deceived me, and through the commandment put me to death (v11). Perhaps in this verse, the Apostle Paul speaking of the commendment “intended to bring life actually brought death” was thinking about the murder of Deacon Stephen. The Law itself is good. It is the sin that makes us very sinful.
Verses 14-25 The Existence of the Saints
Paul confesses he was sold as a slave to sin (v14). As previously explained,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eologically. But, existentially and practically we were once under the law of sin. And even though we consider ourselves dead to sin, we are still under the power of sin that threatens us.
Verse 15 Paul confesses his situation, which is his own mind apart from his body. And the confession of the great Apostle is perhaps embarrassing. John Calvin claims this is a battle between the body of the Christians and the Holy Spirit. This is the typical reality of all believers. Our sins prove that the Law is more right and good.
The sin that lurks within us prevents us from fulfilling the good things the inner beings want in our heart, the obedience of the Law, as in the Garden of Eden.
In the end, the spiritual truth that the great Apostle realized is that there is an inner being in us which wants to do good, and there is one other law of our body against it, which is to fight the law of our heart and to yield us to the law of sin in our body.
How miserable it must have been, the Apostle shouts “O what a wretched man I am!”
Perhaps the more he tried to live good and holy, the deeper he experienced this misery.
Who will rescue me from this body that is subject to death? The answer is in Romans 8. To summarize “life” in one word, excluding the role of the Holy Spirit in regard to sanctification, so then, I myself in my mind am a slave to God’s law, but in my sinful nature a slave to the law of sin (v25b). The only secret to escape from this desperate situation is the grace of the Holy Spirit (more on this will be covered in Chapter 8).
Pastor Rick Warren, in his book The Road to Recovery, asks the following questions:
Do you stay up all night knowing it's time to get a good night's sleep?
Do you eat and drink more calories than your body needs?
Do you know you need to exercise, but don't you?
You know what the right thing to do is but do you do it?
Do you fall into temptation even though you know it's wrong?
Are you selfish, knowing you shouldn't be selfish?
Have you ever tried to control someone or something, but were unsuccessful?
And if you answer "yes" to any of these questions above, per Rick, we all have the same human nature.
It is a sinful nature, the nature wanting to sin. The moment we believe in Jesus, our sins are forgiven. But we still have this sinful nature in our body. And the process of dealing with this throughout life is sanctification.
Without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we are completely defeated (白戰百敗 = 0 wins - 100 loss).
On the other hand, if we seek the grace of the Holy Spirit, we will triumph until the end of age like Jesus.
How about we humbly kneel and come to the place of prayer today?
Komentā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