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00805 새벽묵상 "하나님을 위한 열매"/"Fruit For God" (롬/Rom 7:1-6)


1 형제들아 내가 법 아는 자들에게 말하노니 너희는 그 법이 사람이 살 동안만 그를 주관하는 줄 알지 못하느냐

2 남편 있는 여인이 그 남편 생전에는 법으로 그에게 매인 바 되나 만일 그 남편이 죽으면 남편의 법에서 벗어나느니라

3 그러므로 만일 그 남편 생전에 다른 남자에게 가면 음녀라 그러나 만일 남편이 죽으면 그 법에서 자유롭게 되나니 다른 남자에게 갈지라도 음녀가 되지 아니하느니라

4 그러므로 내 형제들아 너희도 그리스도의 몸으로 말미암아 율법에 대하여 죽임을 당하였으니 이는 다른 이 곧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신 이에게 가서 우리가 하나님을 위하여 열매를 맺게 하려 함이라

5 우리가 육신에 있을 때에는 율법으로 말미암는 죄의 정욕이 우리 지체 중에 역사하여 우리로 사망을 위하여 열매를 맺게 하였더니

6 이제는 우리가 얽매였던 것에 대하여 죽었으므로 율법에서 벗어났으니 이러므로 우리가 영의 새로운 것으로 섬길 것이요 율법 조문의 묵은 것으로 아니할지니라

톰 라이트Tom Wright 는 로마서 7장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7장은 아주 어렵다. 그러나 사람의 문제가 얼마나 깊은지, 따라서 그에 대한

하나님의 해결책이 얼마나 놀라운지 이해하고자 한다면 7장은 꼭 필요하다.

아마도 죄에 대하여는 죽고, 하나님에 대하여 살아있는 존재인 그리스도인이 실제 삶 속에서 겪는 죄의 문제에 대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모든 신자들이 성화의 과정에서 겪는 내적 갈등 말입니다.

존 스토트John Stott 역시 내일 본문인 로마서 7장 후반부에 나오는 곤고한 사람, 또는 비참한 피조물 (NEB)로 번역된 존재가 누구인지? 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넘어가야 함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그는 로마서 7장에서 바울의 관심사는 그리스도인의 거룩함에 대한 회의에서 나온 질문들에 대한 답변이 아닌, 하나님의 목적 안에서 율법의 자리가 무엇인가에 대한 것이라고 말합니다.

쉽게 표현하자면, 은혜로 구원을 받는다면 도대체 율법은 뭐냐? 입니다. 율법에 대한 세가지 태도가 있는데, 아직도 율법으로 구원을 얻는다는 율법주의자, 이제 율법은 쓸모 없다는 도덕률 폐기론자, 그리고 율법을 성취하는 자유인들입니다.

마지막 경우는 칭의도 성화도 하나님의 은혜와 성령의 인도하심으로 이루어지지만 구원을 얻은 백성은 자연스럽게 기쁨으로 하나님의 도덕률에 순종하여 그 말씀을 성취한다는 입장입니다. 이것이 구원 받은 백성의 자연스러운 결과입니다.

그래서 존 스토트는 로마서 강해에서 7장의 제목을 율법과 제자도 라고 했습니다.

제자도란 제자들이 걸어야 할 길, 지켜야 할 마땅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로마서 7-8장을 살펴보면, 은혜의 시대에 새롭게 주어지는 율법의 기능과 성화의 과정에서 느끼는 내적인 갈등을 어떻게 처리하여야 하나님을 위한 열매를 맺을 수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1-3절 법에서 자유롭게 되는 법

법 아는 자들 유대인과 로마인 모두를 의미합니다. 사도 바울은 독자들이 당연히 법을 아는 자들로 자신의 이어지는 비유를 이해할 것을 전제로 이야기를 펼쳐 갑니다. 그 법은 사람이 사는 동안만 그에게 구속력이 있다(RSV) 모든 법은 살아 있는 사람에게만 구속력을 발휘합니다. 얼마 전 한국 사회는 이러한 사실을 너무 실제적으로 보았습니다. 사건의 피의자가 사망하는 순간 그 사건은 공소권 없음 이 되어, 사건이 바로 종결됩니다. 피의자가 죽음으로 모든 법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것입니다.

사도 바울은 이것을 결혼법에 비유합니다. 남편이 살아있을 때는 당연히 남편 외에 다른 남자에게 시집 갈 수 없지만,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연스럽게 그 결혼의 법에서 자유롭게 되어 다른 남자에게 시집 갈 수 있는 것입니다.

4절 신학적인 적용

이제 사도 바울은 비유에서 영적인 원리로 설명을 옮겨갑니다. 너희도 그리스도의 몸으로 말미암아 율법에 대하여 죽임을 당하였으니 그리스도인들이 율법에서 벗어나는 길은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으심을 통하여 함께 죽는 것입니다.

그런데 앞선 결혼법 비유와 신학적인 원리 사이에 약간의 문제가 있습니다. 결혼의 비유에서는 남편이 죽고 아내가 재혼을 합니다. 그런데 신학적 원리에서는 죽는 것도 아내(우리)이고, 재혼 하는 것도 아내 (우리)입니다. 그래서 어떤 학자들은 바울의 비유를 문학적 부조리라고 비판하며 조롱합니다.

하지만 비유는 모든 것이 100% 일치해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비유의 목적이 중요합니다.

바울의 목적은 오직 죽음을 통해서 율법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음을 말하는 것입니다. 실제 여성이든, 영적인 신부인 성도들이든 남편이든 본인이든 결국 죽어야 율법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입니다.

예수와 함께 율법에 대하여 죽은 성도는 비로소 예수와 함께 부활하여 그와 결혼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결혼의 목적은 하나님을 위한 열매(4절)입니다. 이 열매가 무엇일까요? 어떤 학자들은 믿음의 자녀들이라고 해석하기도 합니다. 물론 그렇게 해석할 수도 있지만, 성화의 열매, 성령의 열매를 맺는 삶으로 보는 것이 더욱 합당합니다.

5-6절은 4절의 자세한 해설입니다. 율법으로 말미암는 죄의 정욕 이라는 표현이 유대인들에게는 얼마나 충격적이고 치욕스런 표현일까요? 지금까지 바울은 율법을 아주 부정적으로 표현했습니다.

하지만 앞서 말한 것처럼 내일 본문부터는 율법의 새로운 의미와 위치를 설명할 것입니다.

여하튼 율법 아래 있을 때는 모든 인간은 결국 사망의 열매 밖에는 맺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율법에 대하여 예수의 죽으심에 합하여 죽어 율법에서 벗어난 자들은, 영의 새로운 것 곧 성령의 이끌림을 받아 새롭게 하나님을 섬길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의 삶은 성령의 능력으로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섬기는 것입니다.

다윗이 심각한 범죄를 한 후 가장 두려워했던 것이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주의 영이 자신을 떠나가는 것이었습니다.

나를 주 앞에서 쫓아내지 마시며 주의 성령을 내게서 거두지 마소서(시 51:11)

주의 거룩한 영이 떠난 사울을 보았던 다윗은 가장 두려운 것이 주님의 영이 없는 상태였던 것입니다.

아직 성령의 시대가 아닌 구약에는 성령이 필요에 따라 장소나 사람에게 임재 하셨습니다. 그리고 그 역할이 끝나면 다시 떠나 가셨습니다.

하지만 신약시대에 와서는 오순절 성령강림 사건 후에는 성령의 시대가 되어 각 사람의 영혼 가운데 머무시며 예수께서 약속하신 것처럼 함께 하십니다. 또한 성령은 떠나시지 않고 우리 안에 내주하시며, 끝까지 우리를 천국으로 견인하십니다. 우리가 거룩하게 성화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이 성령님의 은혜입니다. 오늘 우리가 구해야 할 은혜가 무엇일까요? 바로 성령의 은혜입니다.

오늘도 성령 충만한 하루 되기를 원합니다!


 

1 Do you not know, brothers and sisters—for I am speaking to those who know the law—that the law has authority over someone only as long as that person lives? 2 For example, by law a married woman is bound to her husband as long as he is alive, but if her husband dies, she is released from the law that binds her to him. 3 So then, if she has sexual relations with another man while her husband is still alive, she is called an adulteress. But if her husband dies, she is released from that law and is not an adulteress if she marries another man.


4 So, my brothers and sisters, you also died to the law through the body of Christ, that you might belong to another, to him who was raised from the dead, in order that we might bear fruit for God. 5 For when we were in the realm of the flesh, the sinful passions aroused by the law were at work in us, so that we bore fruit for death. 6 But now, by dying to what once bound us, we have been released from the law so that we serve in the new way of the Spirit, and not in the old way of the written code.

Tom Wright speaks of Romans Chapter 7 as follows: Chapter 7 is very difficult. But as deep is the human problems, to understand God’s amazing solutions, chapter 7 is absolutely necessary. If we are dead to sin but alive to God, Christians, this chapter speaks of the matters of sin we struggle in our real lives - the inner conflict of all believers in the process of sanctification. John Stott also agrees that the problem of “wretched man” or “miserable creature” (NEB), in tomorrow scripture (verse 24), must be identified and solved. However, he claims that Paul’s main concern in Romans 7 is not answering questions from the meetings of Christian holiness, but rather what the place of the law in God's purpose is. To simplify this, if we are saved by grace, what then is the law? There are three perspectives to the law: (1) Legalism still believes that salvation is through the law, (2) Abolitionism abandons moral rules since the law is now useless, and (3) the Freeman who fulfills the law. The last (3rd) person believes that both the justification and the sanctification originated from the guidance and grace of the Holy Spirit, and the saved God’s people will naturally with gratitude fulfill God’s laws through obedience. This is the natural result of the believers. This is why John Stott referred to the title of Romans Chapter 7 as the Law and Discipleship. Discipleship means the way worthy of keeping and the disciples should walk. If we study Romans Chapter 7-8 in this point of view, we will know how to deal with the functions of the law and inner conflict in the process of sanctification, which is given in the age of grace, to bring forth fruit for God. Verses 1-3 How to be Released from the Law "Those who know the law" applies to both the Jews and Romans. Apostle Paul is telling the story to the readers who know the law, and on the premise of understanding that they will also understand his metaphor (analogy). The law is binding on a person only during his life (RSV). Recently, the Korean society literally observed this in reality. The moment the suspect in the case died, the incident lost its persecution rights, and the case immediately ended. The suspect was freed from the law through his death. Apostle Paul speaks of this metaphor in the law of marriage. For example, by law a married woman is bound to her husband as long as he is alive, but if her husband dies, she is released from the law that binds her to him. Verse 4 Theological Application Apostle Paul now turns his metaphor into a spiritual principle. So, my brothers and sisters, you also died to the law through the body of Christ, for Christians, to be released from the law is to die together through the death of Christ on the cross. However, there is a slight problem between the analogy of the previous marriage law and the theological principle. In the marriage law, the husband dies and the wife remarries. But in the theological principle, the wife (we) dies and she (we) marries again. For this, some scholars criticize and mock that Paul’s metaphor is absurdity in literature. However, no metaphors need to coincide 100%. The "purpose" of the parable is what is important. Paul’s purpose is to emphasize that only through death we can be released from the law. This law applies to all whether we are actually the women or the spiritual brides (saints) or the husbands. A saint who died to the law with Jesus can only be resurrected with Jesus and able to marry Him! The purpose of this holy marriage is to bear fruit for God (verse 4). So what is this fruit? Some scholars interpret it as children of faith. Of course we can interpret it like so, however it is more appropriate to see it as a life bearing the fruit of the Holy Spirit. Verses 5-6 explains the details of verse 4. The sinful passions aroused by the law were at work in us must have been shocking and shameful expressions to the Jews. Paul has expressed the Law very negatively thus far. But, as I previously mentioned, tomorrow’s scripture will explain the new meanings and positions of the Law. Anyhow, when we are in the realm of the flesh, we can only bear fruit for death. But if we died to the law and were released from the law, in accordance with the death of Jesus, we serve in the new way (guidance) of the Spirit, and not in the old way of the written code. A Christian life is to serve the risen Christ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What was David's greatest fear after committing a serious sin? The fear that the Spirit of the Lord be taken away from him. Do not cast me from your presence or take your Holy Spirit from me. (Psalm 51:11) David was afraid because he saw when the Lord's spirit left Saul. Since the era of the Holy Spirit has not yet come, in the Old Testament, the Lord's spirit would come upon (presence) people or to certain locations. And when the role was over, the Lord's spirit would leave. However, in the New Testament and after the Pentecostal advent, the Holy Spirit dwells within each believer's hearts as Jesus promised. Moreover the Spirit will not leave us but guides us into heaven. Only by the grace of the Holy Spirit, we are able to sanctify in holiness. What grace shall we then ask for today? It is the grace of the Holy Spirit. Let us be filled with the Holy Spirit today!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