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호와여 내 기도를 들으시며 내 간구에 귀를 기울이시고 주의 진실과 의로 내게 응답하소서
2 주의 종에게 심판을 행하지 마소서 주의 눈 앞에는 의로운 인생이 하나도 없나이다
3 원수가 내 영혼을 핍박하며 내 생명을 땅에 엎어서 나로 죽은 지 오랜 자 같이 나를 암흑 속에 두었나이다
4 그러므로 내 심령이 속에서 상하며 내 마음이 내 속에서 참담하니이다
5 내가 옛날을 기억하고 주의 모든 행하신 것을 읊조리며 주의 손이 행하는 일을 생각하고
6 주를 향하여 손을 펴고 내 영혼이 마른 땅 같이 주를 사모하나이다 (셀라)
7 여호와여 속히 내게 응답하소서 내 영이 피곤하니이다 주의 얼굴을 내게서 숨기지 마소서 내가 무덤에 내려가는 자 같을까 두려워하나이다
8 아침에 나로 하여금 주의 인자한 말씀을 듣게 하소서 내가 주를 의뢰함이니이다 내가 다닐 길을 알게 하소서 내가 내 영혼을 주께 드림이니이다
9 여호와여 나를 내 원수들에게서 건지소서 내가 주께 피하여 숨었나이다
10 주는 나의 하나님이시니 나를 가르쳐 주의 뜻을 행하게 하소서 주의 영은 선하시니 나를 공평한 땅에 인도하소서
11 여호와여 주의 이름을 위하여 나를 살리시고 주의 의로 내 영혼을 환난에서 끌어내소서
12 주의 인자하심으로 나의 원수들을 끊으시고 내 영혼을 괴롭게 하는 자를 다 멸하소서 나는 주의 종이니이다
시편 143편은 대적들에게 핍박을 받으며 자신을 돌아보고 회개하며 구원을 바라는 다윗의 시입니다.
여기서 대적은 다윗의 아들로 쿠테타를 일으켰던 압살롬이 유력합니다. 70인역[1]LXX이나 불가타[2] Vulgata 번역본은 다윗의 시 라는 표제 앞에 그의 아들 압살롬에게 쫓길 때 라는 구절이 첨가되어 있습니다.
본 시의 장르는 학자에 따라 비탄시Lament 또는 회개시 Penitential Psalm 로 분류됩니다.
내용을 볼 때는 시인이 대적에게 핍박 당하는 육체적, 정신적으로 절망적인 상황에서 하나님의 구원을 바라는 전형적인 비탄시의 형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인이 자신이 당하는 환난이 자신의 죄로 말미암은 사실을 인식하고, 자신의 죄를 회개하며 하나님의 은혜와 인자를 구하는 회개시로 볼 수 있습니다. 본 시는 전통적으로 교회에 전해 내려온 7개의 회개 시편(6, 32, 38, 51, 102, 130, 143편) 중 마지막 노래로 알려져 있습니다.
1연 (1-2절)
다윗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기도를 들어주시기를 원합니다. 하지만 하나님이 그의 기도를 들어주어야 할 이유는 다윗이 가지고 있는 성품이나 공로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의 진실과 의로우신 성품 때문입니다.
2절 다윗은 이어서 놀라운 고백을 합니다. 자신에게 닥친 어려움을 죄에 대한 심판으로 인식합니다. 또한 그는 자신을 비롯하여 모든 인간이 죄인임을 고백합니다. 그저 불쌍히 여겨주시기를 간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학은 바울의 신학[3]과 일치하는 개념으로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는 칭의론의 근거가 됩니다.
결국 구원은 하나님의 진실하시고 의로우신 성품과 인간 스스로가 죄인임을 인식하는 자기 인식, 곧 회개가 만나서 이루어지는 사건입니다. 그래서 사도 요한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만일 우리가 우리 죄를 자백하면 그는 미쁘시고 의로우사 우리 죄를 사하시며
우리를 모든 불의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 (요일 1:9)
하나님의 진실하심(미쁘심)과 의로우심을 믿으십니까? 그리고 내가 죄인임을 진심으로 고백하십니까?
그렇다면 나는 구원 받은 하나님의 자녀입니다. 그러한 자녀의 기도를 하나님 아버지께서 들으십니다.
2연 (3-4절)
3절 히브리어 성경에는 왜냐하면 에 해당하는 접속사가 있습니다. 2절에서 회개한 이유가 바로 현재의 환란 때문이며, 그 환난이 자신의 범죄로 말미암은 것임을 다윗이 깨달았음을 보여주는 구절입니다.
회개합니다! 왜냐하면 원수가 내 영혼을 핍박하며… 이렇게 이해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어지는 표현들은 내 생명을 가루로 만들어서 죽은 지 오래된 자와 같이 지옥에 거하게 하였다 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왕이었던 다윗이 현재는 쫓겨나 아무 영향력도 없이 도망 다니는 신세가 되어 버린 것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4절 내 심령이 상하여 에서 상하다(아타프) 는 시편 142:3절과 동일한 표현으로 압도당하다, 기절하다 라는 의미입니다. 또한 참담하니이다(이쉬토멤) 는 소스라치게 놀라다, 심장마비 걸리다 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다윗은 자신이 처한 상황을 기절할 것 같고 심장마비 걸릴 것 같은 상황으로 묘사합니다.
3연 (5-6절)
다윗은 자신의 환란을 통해서 추억을 소환합니다. 또한 주께서 자신이 목동일 때, 사울에게 쫓길 때, 왕으로 삼으실 때를 묵상하며 거룩한 회개의 손을 들어 올립니다. 그리고는 가뭄에 마른 땅이 갈라져 하늘을 향하여 비를 갈구하듯 입을 벌리는 것처럼, 시인은 입을 벌려 주님을 구합니다.
우리 삶에 닥쳐 오는 환란, 고난, 어려움은 다윗처럼 이렇게 사용해야 합니다.
형통한 날에는 기뻐하고 곤고한 날에는 되돌아 보아라 이 두 가지를 하나님이 병행하게 하사…
(전 7:14a)
4연 (7-12절)
다윗은 하나님께 지금 상황에서 속히 구해주실 것을 간구합니다. 주님이 얼굴을 우리에게서 숨기시면 우리의 삶은 점점 황폐해져 갑니다. 늘 하나님의 얼굴 빛이 비칠 때 우리의 삶은 행복합니다.
시인은 자신이 죄로 말미암아 잃어버린 길을 찾기를 원합니다. 하나님만이 그 길을 알려주실 수 있습니다.
다윗의 간구는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이름, 곧 하나님의 영예를 위한 것입니다(11절).
또한 하나님의 구원은 주의 의(11절)와 인자하심(12절)에 기인합니다.
하나님은 당신의 종인 다윗을 구원하십니다.
1517년 10월 31일, 마틴 루터가 카톨릭에 대항하여 비텐베르크 성(城)Castle 교회 정문에 붙인 95개조 반박문 은 종교개혁의 시발점이 됩니다. 그 첫 번째 반박은 다음과 같습니다.
만유의 주님이시며 영원한 지도자이신 예수 그리스도가 회개하라고 선포하신 그 골자는
성도들의 생애가 참회의 요소가 있어야 함을 의미하노라
마틴 루터의 반박문도 엄청난 영향력이 있지만, 우리의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도 이 땅에서 처음 사역을 시작하시면서 회개하라! 고 외쳤습니다. 모든 인간은 죽음이 증거하는 죄인이며,
주님의 말씀대로 그것을 깨닫고 주님의 선하심과 의로우심을 구할 때 생명을 얻습니다.
그리고 다윗이 바라던 주님의 선하심과 의로우심은 십자가에서 완전하게 드러났습니다.
십자가는 죄인인 나와 의롭고 선하신 하나님을 더하는 플러스 + 입니다.
나는 죄인 + 의로우신 하나님 = 구원 입니다.
[1] 칠십인역(70인역, 七十人譯, 라틴어: septuaginta, '70'을 의미, LXX)은 현재 존재하는 구약성경 번역판 중 가장 오래된 판본 가운데 하나이다. 기원전 300년경에 고대 그리스어인 코이네 그리스어(헬라어)로 작성되었으며, 현대에 제작된 많은 기독교 구약성경의 원본으로 사용되었다. 현재까지도 동방 정교회에서 공식 전례 본문으로 인용하고 있다. 히브리어 성경을 정경으로 인정하는 유대교에서는 정경으로 취급받지 않는다. [2] 불가타(Vulgata) 또는 새 라틴어 성경은 5세기 초에 라틴어로 번역된 기독교 성경이다. 불가타를 영어식 표현(Vulgate) 그대로 읽어서 '벌게이트'라고 하는 예도 있다. [3] 기록된 바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 그러므로 율법의 행위로 그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나니 (롬 3:10, 20)
1 Lord, hear my prayer, listen to my cry for mercy;
in your faithfulness and righteousness come to my relief.
2 Do not bring your servant into judgment, for no one living is righteous before you.
3 The enemy pursues me, he crushes me to the ground;
he makes me dwell in the darkness like those long dead.
4 So my spirit grows faint within me; my heart within me is dismayed.
5 I remember the days of long ago; I meditate on all your works
and consider what your hands have done.
6 I spread out my hands to you; I thirst for you like a parched land. [Selah]
7 Answer me quickly, Lord; my spirit fails.
Do not hide your face from me or I will be like those who go down to the pit.
8 Let the morning bring me word of your unfailing love, for I have put my trust in you.
Show me the way I should go, for to you I entrust my life.
9 Rescue me from my enemies, Lord, for I hide myself in you.
10 Teach me to do your will, for you are my God;
may your good Spirit lead me on level ground.
11 For your name’s sake, Lord, preserve my life; in your righteousness, bring me out of trouble.
12 In your unfailing love, silence my enemies; destroy all my foes, for I am your servant.
The Psalm 143 is A Psalm of David. It is another cry to God from a time of crisis because of David’s many enemies. David looks at himself, repents, and seeks God’s salvation. The enemy is possibly his son Absalom who led a rebellion against him. The LXX (Greek) or Vulgate (Latin) translations added “when he was fleeing from Absalom” in the title. The scholars categorize this psalm either as Lament or Penitential Psalm. This psalm contains lamentation over David’s physical and mental persecutions as he seeks God’s deliverance. The psalmist acknowledges that the misery was the cause of his sins, and pleads for God’s grace and mercy - it is a psalm of repentance. It is the last song of the 7 Penitential psalms (Psalms 6, 32, 38, 51, 102, 130, and 143).
Stanza 1 (verses 1-2)
David is crying out to God asking Him to listen to his prayer. The reason God will hear of David’s prayer has nothing to do with his characteristics or acts (credit), but because God is Faithful and Righteous.
Verse 2 is a strong statement of confession. David acknowledges that judgment is the wages of sin. He also confesses that we are all sinners, and no one living is righteous before God. He is simply asking for God’s compassion. This confession of faith coincides with Apostle Paul’s doctrine of salvation, the justification (Romans 5:10, 20). Ultimately, salvation is an event where God’s faithfulness and righteousness meet with a person who acknowledges that he/she is a sinner and repents before God.
Apostle John confessed as follows:
If we confess our sins, he is faithful and just and will forgive us our sins
and purify us from all unrighteousness (1 John 1:9)
Do you believe in God’s faithfulness and righteousness?
Do you sincerely confess that you are a sinner before God?
If yes, then you are a saved child of God. God hears the prayers of His children.
Stanza 2 (verses 3-4)
Verse 3 the word “therefore” in Hebrew is כִּי (ki). The reason why David repented in verse 2 is because of his circumstances, and he acknowledged that his sins are the cause of his calamities. We can connect verses 2 and 3 by The enemy pursues me “ki” (therefore) I repent! Then follows “he crushes me to the ground; he makes me dwell in the darkness (hell) like those long dead”. King David has no influence whatsoever over Israel, and is now fleeing from his enemies.
Verse 4 “my spirit grows faint” the word “overwhelmed” (KJV) in Hebrew is עַטֵּ֣ף (ataph), the same expression was mentioned in Psalm 142:3, means flabbergasted, shocked, or fainted. The word “distressed” (KJV) is יִשְׁתּוֹמֵ֥ם (ishtomem) means astonished or heart attack. David explains his situation as if he had a heart attack.
Stanza 3 (verses 5-6)
In this dark season of his soul, David considered the days of old when things were not so bad. He probably thought of early days of innocence and freshness in his life as a shepherd; when he was fleeing from Saul; and his life serving God as a king - David raises his hands in repentance. He thirsts for God’s deliverance like a rain on a parched land. Like David, this is how we ought to respond to the trials, distress, and hardships in our lives.
When times are good, be happy; but when times are bad, consider this:
God has made the one as well as the other (Ecclesiastes 7:14a).
Stanza 4 (verses 7-12)
David is asking for God’s speedy answer. If God hides His face from us, our life becomes desolate. We can enjoy our lives only when God shines His face towards us. The psalmist is longing to find his path lost by his sins. Only God can show us the right path. David knew that his rescue would bring glory to God, to His Name, so he could pray for deliverance on that basis (v11). David appealed to God on the basis of His righteousness (v11) and His mercy (v12). God will save his servant David.
On October 31st, 1517, Martin Luther approached the door of the Castle Church in Wittenberg, Germany, and nailed a piece of paper to it containing the 95 revolutionary opinions that would begin the Protestant Reformation. The first theses reads:
Our Lord and Master Jesus Christ, in saying, "Repent ye, etc.," intended that the whole life of his believers on earth should be a constant penance.
Martin Luther’s theses are most definitely influential, however our Lord Jesus Christ proclaimed “Repent!” as He began his ministry on this earth. We are all born as sinners, and we receive eternal life only when we acknowledge our sins and seek the faithfulness and righteousness of our Lord.
The faithfulness and righteousness of the Lord, David asked for, were clearly revealed at the Cross. The Cross connects me, the sinner, with God.
I am a sinner + The Righteousness of God = Salvation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