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가 소리 내어 여호와께 부르짖으며 소리 내어 여호와께 간구하는도다
2 내가 내 원통함을 그의 앞에 토로하며 내 우환을 그의 앞에 진술하는도다
3 내 영이 내 속에서 상할 때에도 주께서 내 길을 아셨나이다 내가 가는 길에 그들이 나를 잡으려고 올무를 숨겼나이다
4 오른쪽을 살펴 보소서 나를 아는 이도 없고 나의 피난처도 없고 내 영혼을 돌보는 이도 없나이다
5 여호와여 내가 주께 부르짖어 말하기를 주는 나의 피난처시요 살아 있는 사람들의 땅에서 나의 분깃이시라 하였나이다
6 나의 부르짖음을 들으소서 나는 심히 비천하니이다 나를 핍박하는 자들에게서 나를 건지소서 그들은 나보다 강하니이다
7 내 영혼을 옥에서 이끌어 내사 주의 이름을 감사하게 하소서 주께서 나에게 갚아 주시리니 의인들이 나를 두르리이다
시편 142편은 다윗의 시로 사울 피해 도망하여 엔게디 굴(삼상 24:1-7)이나 아둘람 굴(삼상 22:1-2)에 숨었을 때 지은 시[1]입니다. 표제에 나오는 마스길 משכיל 은 교훈시, 지혜시라고 해석하기도 하지만 그 의미를 정확히는 모릅니다. 일반적으로 묵상시Contemplation 또는 기도시 Prayer psalm 로 해석합니다.
본 시편은 개인의 비탄시Lament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다윗이 사울과 그의 병사들에게 쫓기며 동굴에 숨어서 사는 비참한 상황에서 자신의 형편과 절박한 심정을 하나님께 아뢰는 믿음의 기도시입니다.
1연 (1-2절) 여호와께 소리 내어 부르짖다
1절은 기도의 대상과 기도의 방법에 대해서 우리에게 알려줍니다. 기독교의 기도의 가장 위대한 점은 기도를 듣는 인격적인 대상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바로 여호와 יהוה (야훼)입니다. 스스로 존재하시며,[2] 영원하시고 변함이 없는[3], 그리고 시인과 함께 하시며 그를 도울 수 있는 유일한 존재가 여호와입니다.[4]
다윗은 자신이 기도하는 대상인 하나님이 그러한 분임을 알고 기도합니다.
소리 내어 부르짖는 것은 큰 소리로 열렬하게 기도하는 모습을 묘사하는 것이고, 소리 내어 간구하는 것은 연약한 존재가 우월한 대상에게 겸손하게 도움을 구하는 것을 묘사하는 것입니다.
절박함과 간절함을 엿볼 수 있는 표현입니다.
2절 원통함을 토로하며 에서 원통함 שיח (시아흐)은 불평, 묵상, 기도 등을 의미합니다.
토로하다 שפך (솨팍)는 엎질러 붓다 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니까 시인은 자신의 억울함과 기도 제목을 여호와 하나님 앞에 토해내듯 쏟아 붓고 있는 것으로 기도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우환을 진술하는도다 에서 우환(초르)은 강한 적들에 포위되어 꼼짝 못하는 상황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오직 하나님께 이러한 상황을 아뢰는 것 밖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2연 (3-5절) 오직 주님만 내 길을 아십니다
3절 내 영이 내속에서 상할 때에도… 다윗의 심령은 이제 황폐합니다. 상할 때에 라는 표현은 무엇인가 어두운 것으로 덮다 라는 의미입니다. 고통과 두려움에 압도당한 상황입니다. 하지만 그러한 상황 중에서도 다윗은 알고 있는 사실이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주께서 내 길을 알고 계신다는 사실입니다.
여기서 하나님의 다윗의 길을 알다(야다)라는 표현은 140:12 절에서 다윗의 하나님을 알거니와 라고 표현한 단어와 동일한 의미입니다. 지식적으로 아는 것만이 아닌 경험을 통하여 아는 부부간의 지식을 일컬을 때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하나님과 다윗은 그런 관계입니다!
다윗의 상황은 사울과 그 부하들이 다윗의 다닐만한 길에 올무를 숨겨 사냥하려는 긴박한 상황입니다.
4절에서는 점진적으로 자신의 위기를 묘사합니다.
오른쪽을 살펴 보아도 나를 아는 이도 없고 에서 오른쪽은 도움을 상징합니다. 도울 자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피난처도 없고 내 영혼을 돌보는 이도 없는 상황이 다윗의 형편입니다.
삶이 괴롭고, 외롭고, 힘들어 주변을 살펴보았는데 아무도 나를 도와줄 존재가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을 때 그 좌절감, 절망감을 경험해 보셨습니까?! 다윗의 상황이 철저하게 혼자가 되어 두려움과 외로움의
절망감이 그를 뒤덮고 있는 상태입니다.
5절 다윗이 알고 있는 두 번째 사실이 있습니다. 주는 나의 피난처시요 나의 분깃이라, 할렐루야!
이토록 절망적인 상황에서 다윗이 절망하지 않을 수 있는 이유는 인간의 도움을 찾을 수 없지만, 오직 나의 피난처되시고 나의 분깃(몫)이 되시는 하나님이 계시기 때문입니다. 나의 분깃이라는 표현은 원래 레위지파에 해당하는 표현이지만, 다윗은 지금 하나님이 나의 편이시요 내가 가진 전부라는 확신의 표현으로 나의 분깃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3연 (6-7절) 확신에 찬 간구
이제 다시 다윗은 하나님께 간구를 합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확신에 찬 간구입니다.
6절 나는 심히 비천하니이다 를 직역하면 나는 매우 낮은 곳으로 가져감을 당하였나이다 입니다.
확신에 찬다는 것이 자신의 형편을 제대로 파악 못하는 현실 감각이 떨어지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윗은 충분히 자신의 상황이 어떠한지를 알고 있습니다. 또한 심리적, 물질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태입니다.
7절 나의 영혼을 옥에서 이끌어 내사 현재 다윗이 머물고 있는 동굴은 쇠창살 없는 감옥입니다.
또한 정신적으로도 감옥에 갇힌 것과 같은 두려움과 부담감을 느낍니다.
하지만 다윗은 결코 믿음을 잃지 않습니다. 결국 하나님께서 자신을 구원하시고 적들을 물리치신 후에 주변에 좋은 사람들만 남겨 주실 것을 확신하면서 노래를 마무리합니다.
우리나라 속담에 호랑이에게 물려 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아무리 상황이 어렵고 힘들어도 정신만 똑바로 차리고 있으면 얼마든지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정신을 차리는 것이 결코 쉽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특히 현대인들은 호랑이에게 물려간 상황이 아닌데도 오히려 정신줄을 놓아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의 정신력이 약해 졌습니다. 분명히 현대인들이 정신적으로 약해진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정신력으로만 다윗과 같은 상황을 이겨낼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인간의 정신력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다윗이 모든 상황을 이겨낼 수 있었던 원인은 주께 소리 내어 부르짖음에 있습니다.
또한 하나님이 내 길을 아신다는 것과 그분이 나의 피난처라는 지식이 그를 끝내 이겨내게 한 것입니다.
나의 피난처이자 나의 모든 길을 알고 계시는 하나님!
그 하나님 앞에 소리 내어 엉엉 울며 나의 아픔과 억울함, 두려움을 모두 토해내고 싶지는 않습니까?
이것이 호랑이에게 물려가도 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1] 시편 34, 52, 54, 54, 57, 63, 142편이 다윗이 사울을 피해 다니던 시절에 지은 시입니다. [2] 하나님이 모세에게 이르시되 나는 스스로 있는 자이니라 (출 3:14) [3] 영원하신 왕 곧 썩지 아니하고 보이지 아니하고 홀로 하나이신 하나님께 존귀와 영광이 영원무궁하도록 있을지어다 아멘 (딤전 1:7) [4] 만군의 여호와께서 우리와 함께 하시니 야곱의 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시로다 (시 46:7)
1 I cry aloud to the Lord;
I lift up my voice to the Lord for mercy.
2 I pour out before him my complaint;
before him I tell my trouble.
3 When my spirit grows faint within me,
it is you who watch over my way.
In the path where I walk
people have hidden a snare for me.
4 Look and see, there is no one at my right hand;
no one is concerned for me.
I have no refuge;
no one cares for my life.
5 I cry to you, Lord;
I say, “You are my refuge,
my portion in the land of the living.”
6 Listen to my cry,
for I am in desperate need;
rescue me from those who pursue me,
for they are too strong for me.
7 Set me free from my prison,
that I may praise your name.
Then the righteous will gather about me
because of your goodness to me.
Psalm 142 is David’s prayer when he was in the cave fleeing from Saul.
The cave was probably Adullam cave (1 Samuel 22:1-2) or the caves of En Gedi (1 Samuel 24:1-7) are also a possibility. The word משכיל (maskil) could be translated as instruction (lessons) or wisdom, however the exact meaning is unknown. Generally, it is called the Contemplation or Prayer Psalm. It can also be categorized as a Lament Psalm of David. It is a desperate prayer of faith for David - he was hiding in a cave terribly helpless and hopeless when Saul gathered his soldiers to kill him.
Stanza 1 (verses 1-2) Cry Aloud to the Lord
Verse 1 teaches us how to and to whom we should pray. The greatest aspect of Christian prayer is that there is someone who personally hears our petition. That is Yahweh יהוה (YHVH). Yahweh exists on His own “I Am Who I Am” (Exodus 3:14). Yahweh is Eternal, Unchanging, always be with the psalmist, and He alone can rescue him. David knew exactly who God was and who heard his prayer. “I cry aloud” means to fervently pray with a loud voice. “I lift up” means to humbly ask for mercy from a Superior Being. It was David’s urgent and desperate declaration of allegiance to the Lord.
Verse 2 “I pour out my complaint” the word complaint in Hebrew is שיח (síakh) referring to dissatisfaction, devotion, and prayer. The word pour out in Hebrew is שפך (shafakh) means to spill over. In other words, the author was literally pouring out the unfair and cruelty before the Lord as he prayed. “I tell my trouble” the word trouble in Hebrew is צרה (tzara) and it is used to express the situation when one is surrounded by strong enemies and completely helpless. At this point, all we can do is we have to lay all our circumstances before God.
Stanza 2 (verses 3-5) You Alone Watch Over My Way
Verse 3 “when my spirit grows faint within me” at this time, David felt overwhelmed (desolate). Overwhelmed means to cover something with darkness. David was swamped with pain and fear. But even in this difficult situation, David knew the following.
First, the Lord knows my way
Here, the word “know” in Hebrew is Yada. The same expression appeared in Psalm 140:12 when David knew that the Lord secures justice. Yada is not just to “know” but to “understand” based on a relationship (i.e. physical oneness of a husband and wife).
This is the relationship David had with God!
David was in a situation where Saul and his soldiers with secret snares tried to capture him wherever he may be.
Verse 4 David gradually expresses his crisis.
“There is no one at my right hand” the word “right” symbolizes “help” meaning there is no one to help. This was David’s situation “no one is concerned for me. I have no refuge.”
Have you ever experienced frustration and despair where there was no one to help in your agony, loneliness, and hardships?! David was overwhelmed in this situation of total loneliness and fear.
Verse 5 David knew of this second truth “You are my refuge, my portion in the land of the living” Hallelujah!
David had no refuge among men, but he confidently proclaimed that God is his refuge. David did not despair because the Lord is his portion, his inheritance. The expression “The Lord is their portion” originally applies to the Levites (Deut 10:9). However, with all hope in this world is gone, David declares God is his refuge and his everything.
Stanz 3 (verses 6-7) Confident Assurance
David again earnestly seeks God. And this time, with confident assurance.
Verse 6 “I am in desperate need” in direct translation is “I was brought to the lowest point”. Confident assurance does not mean ignoring one’s current situation. David exactly knew of his circumstances. He was in danger mentally and physically.
Verse 7 “set me free from my prison” the cave where David was hiding is a prison without bars. David was also in a mental stage where he felt imprisoned by fear and burden. But he did not lose his faith in the Lord. In the end, God will rescue David from all his pursuers and enemies, and leave him with good people around him.
In Korean old saying, “even if you get bitten by a tiger, you will survive if you keep your cool”. Regardless of the difficult circumstances, as long as we stay focused, we can overcome any hardship. The problem is the fact that “staying focused” at all times is difficult. In modern society, we often see people who lose their mind even when they were not bitten by a tiger...we have become mentally weak. But can a strong mentality alone overcome the hardships of David? No, because our mental power is limited.
David was able to overcome his hardships because he cried aloud to the Lord. And because he Yada (knew) that the Lord is his refuge and knows his ways.
Lord, You alone is my refuge and know my way!
Don’t you want to cry aloud and present your pain, humiliation, and all your fears before God?
This is the only way we can survive even when we are caught by a tiger.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