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00702 새벽묵상 "기쁨이 사형 당할 때"/"When Joy is Talah (Hung)" (시/Ps 137:1-9)


1 우리가 바벨론의 여러 강변 거기에 앉아서 시온을 기억하며 울었도다

2 그 중의 버드나무에 우리가 우리의 수금을 걸었나니

3 이는 우리를 사로잡은 자가 거기서 우리에게 노래를 청하며 우리를 황폐하게 한 자가 기쁨을 청하고 자기들을 위하여 시온의 노래 중 하나를 노래하라 함이로다

4 우리가 이방 땅에서 어찌 여호와의 노래를 부를까

5 예루살렘아 내가 너를 잊을진대 내 오른손이 그의 재주를 잊을지로다

6 내가 예루살렘을 기억하지 아니하거나 내가 가장 즐거워하는 것보다 더 즐거워하지 아니할진대 내 혀가 내 입천장에 붙을지로다

7 여호와여 예루살렘이 멸망하던 날을 기억하시고 에돔 자손을 치소서 그들의 말이 헐어 버리라 헐어 버리라 그 기초까지 헐어 버리라 하였나이다

8 멸망할 딸 바벨론아 네가 우리에게 행한 대로 네게 갚는 자가 복이 있으리로다

9 네 어린 것들을 바위에 메어치는 자는 복이 있으리로다


지금은 남의 땅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그러나 지금은 ―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일제 강점기 시절 이상화 시인이 쓴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의 시작과 마지막 절입니다.

시인은 생명으로 가득 차야 할 봄이지만, 일제 강제 점령은 봄의 생명력조차 빼앗아 가버린 것처럼 느낍니다. 본 시는 시인의 조국에 상황에 대한 애처로움을 아름답게 표현한 시입니다. 사람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서 동일한 것들을 다르게 느끼게 됩니다. 여느 때와 다름 없는 조국의 들에 찾아온 봄이지만 시인에게는 마치 봄이 오지 않은 것 같은 마음인 것입니다.

우리나라와 이스라엘은 비슷한 것이 많은 것 같습니다. 나라를 잃었던 경험과 비상한 두뇌, 국민성 등

시편 137편도 이상화 시인의 시와 비슷한 느낌이 듭니다. 좀 더 직접적이고 더 애절합니다. 본 시는 B.C. 586년 시인이 예루살렘의 멸망을 목격하고 바벨론 포로로 잡혀간 현장에서 기록한 시로 보여집니다.

시인의 시 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는 시이며, 탄식시로 분류합니다. 탄식 시편은 총 150편의 시편 중에서 일반적으로 53개로 무려 1/3 해당합니다. 그 시편 중에 복수시 또는 저주시[1]도 제법 많이 있습니다.

1연 (1-4절) 애통함

1절 바벨론은 한 시대를 제패했던 고대 강국으로 현대 이라크에 해당하는 지역을 지배했습니다. 남유다는 B.C. 586년 바벨론 제국에 의해 멸망을 당하고, 포로로 잡혀가 70년의 시간을 보낸 후에 바사 고레스왕의 칙령으로 예루살렘에 귀환하는 감격을 누립니다.

바벨론에는 티그리스-유프라데스 강이 있습니다. 시인이 강들이라고 표현한 것은 그 강의 지류를 의미합니다. 어떤 학자들은 강변에 앉았다 라는 표현을 거주 했다 또는 정착했다 라고 해석하기도 하지만, 그 보다는 털썩 주저 앉아 목 놓아 대성통곡하는 모습을 묘사 했다고 보는 것이 더 좋습니다.

2절 수금을 걸었다 에서 걸었다 원문은 תָּ֝לִ֗ינוּ (탈리누) 입니다. 이것은 사람을 처형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수금은 이스라엘이 예배할 때 기쁨을 노래하는 악기로 영어로는 하프 Harps로 번역합니다.

이 시적인 표현은 결국 그들이 기쁨이 사형을 당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절대로 노래하지 않겠다는 의미입니다.

3-4절 왜 노래하지 않습니까? 이방인인 바벨론 사람들이 하나님께 드리는 기쁨의 노래를 연주하며 노래해보라고 조롱하기 때문입니다. 홍해를 건너며 불렀던 미리암의 노래, 모세의 노래 등을 노래하라는 것은 전쟁의 능하신 하나님, 구원자 하나님을 노래해보라는 것인데, 지금의 이스라엘 상황과는 전혀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놀리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시인은 하나님께만 드리는 찬양을 이방인들의 조롱과 오락거리로 만들지 않을 것을 다짐합니다. 어찌 여호와의 노래를 부를까?(4절) 라고 반문하며, 결코 부르지 않을 것을 결단합니다.

2연 (5-6절) 충성함

5절 내 오른손이 그의 재주를 잊을지로다 를 직역하면 나의 오른 손이 잊게 될 것이다 입니다. 재주라는 단어는 원문에 없지만, 본래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이 정도의 의역은 허용할 수 있습니다. 시인은 자기 스스로 다짐합니다. 만일 시인이 예루살렘을 잊는다면 하프를 연주하던 오른 손을 잃어도 상관 없습니다.

6절 내가 가장 즐거워하는 것보다 더 즐거워하지 아니할진대 를 직역하면 만일 내가 나의 기쁨의 머리에 예루살렘을 놓지 않는다면 입니다. 시인이 만일 예루살렘의 성전과 그 은혜로운 찬양과 예배의 즐거움을 잊는다면 차라리 말을 못하는 언어장애인이 될 것이라고 다짐하는 의미입니다.

3연 (7-9절) 탄원함

이제 시인은 자신과 이스라엘의 원수에 대한 저주의 노래를 부릅니다.

7절 예루살렘이 멸망하던 날 옆에서 좋아하며 기초(성전, 하나님의 통치)까지도 허물어지기를 바랬던 형제 나라인 에돔에 대한 심판을 간구합니다. 에돔은 야곱의 형 에서의 후손으로 신약에서 이두매 지역에 사는 사람들을 가리킵니다. 헤롯 대왕이 바로 이두매 출신의 사람입니다.

8-9절 바벨론은 요한계시록에서 음녀(淫女) harlot 라고 불립니다. 바벨론 국가는 주로 어미로 백성들은 딸들로 비유 합니다. 시인은 바벨론이 이스라엘에게 행한 대로 갚아주실 것을 탄원합니다. 그들이 이스라엘에게 행한 잔혹한 행위는 네 어린 것들을 바위에 메어치는 자는 복이 있으리로다(9절) 라는 표현에 담겨 있습니다.

본 시를 통해서 2가지를 생각해 봅니다.

첫 번째로 나는 시인과 같이 나의 재능이나 가진 것들로 오직 하나님만 섬길 것을 다짐하는지 생각해봅시다. 비록 포로 생활을 하는 비참한 상황이지만 시인은 하나님을 향한 강력한 갈망을 잊지 않겠다고 다짐하며 자신의 손과 입과 혀는 오직 하나님만을 찬양할 것을, 만일 그렇지 않으면 아예 수금과 노래를 포기할 것을 결단합니다. 우리는 너무 많이 세상과 타협하지는 않는지요?

두 번째로 왜 우리의 기쁨이나 찬양이 사라질까요? 그럴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하거나 다른 사람의 삶과 비교하면서 기쁨, 찬양, 행복, 즐거움 등 너무도 많은 것을 잃어버립니다. 하나님은 그럴 경우 필요에 따라 자녀들을 때론 고난 가운데로 이끄십니다.

그 때 자녀들이 해야 할 것은 탄원의 노래를 부르는 것입니다!

존 칼빈 John Calvin은 시편을 영혼의 해부학 이라고 말했습니다. 우리의 마음에 있는 그대로 분노, 속상함, 저주, 억울함 등 모든 것을 순수하게 아버지 앞으로 가지고 나가면 됩니다. 이것이 저주의 시이고, 탄원의 시편입니다. 그 무엇이든 우리의 영혼을 하나님 앞으로 이끌어 갈 수 있다면 그것은 축복입니다.

탄원의 노래, 저주의 노래가 바로 그렇습니다. 오늘 하루를 우리의 영혼을 하나님 앞에 순수한 존재로 변화 시키는 탄원의 노래로 시작해 봅시다!

[1] 시편 중에서 저주시(詛呪詩)는35, 58, 59, 60, 70, 109, 137, 140편입니다.


 

1 By the rivers of Babylon we sat and wept when we remembered Zion.

2 There on the poplars we hung our harps,

3 for there our captors asked us for songs, our tormentors demanded songs of joy;

    they said, “Sing us one of the songs of Zion!”

4 How can we sing the songs of the Lord while in a foreign land?

5 If I forget you, Jerusalem, may my right hand forget its skill.

6 May my tongue cling to the roof of my mouth if I do not remember you,

if I do not consider Jerusalem my highest joy.

7 Remember, Lord, what the Edomites did on the day Jerusalem fell.

“Tear it down,” they cried, “tear it down to its foundations!”

8 Daughter Babylon, doomed to destruction, happy is the one who repays you

    according to what you have done to us.

9 Happy is the one who seizes your infants and dashes them against the rocks.


Someone else’s land now –Does spring ever return to the stolen fields?

Yet, for the land's stolen now, even spring's hope might be taken away


These are the beginning and ending phrases of Lee’s Sang-Wha’s literature, Does Spring Come To Stolen Fields, writt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pringtime is generally full of new lives, but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Koreans felt even the spring’s hope was taken away. This poem beautifully expresses the pitiful situation of Korea then. Depending on our situations, we interpret the same thing differently. Although it was another typical springtime in the fields, the author did not find any hope for the spring.

Korea and Israel share many similarities: our lands were once taken away; we are extraordinarily smart people; nationality and other things. 

Psalm 137 also shares similar thoughts with those of Lee Sang-Wha’s poem, or rather written with more sorrow. This song was likely written around 586 B.C. when Israel was destroyed and exiled to Babylon. Psalm 137 is called the Mournful (or sorrow) Song of the Exiles. There are 53 mournful songs within the book of Psalm (1/3 of the entire book). Imprecatory Psalms are those that invoke judgment, calamity, or curses, and is also considered another major series of Psalms.


Stanza 1 (verses 1-4)  Lamentation

Verse 1 Babylon is one of the strongest kingdoms in ancient Mesopotamia, and it ruled the entire regions of now Iraq. Babylon besieged the kingdom of Judah and destroyed it in year 586 B.C. The exile lasted 70 years before the Persian conqueror, Cyrus the Great, gave the Jews permission to return to Jerusalem. Babylon was built along the banks of the Tigris and Euphrates rivers. The author wrote “by the rivers” referring to a tributary. Some scholars interpret “we sat” as in “reside” or “settle” near the rivers. There, Israelites flop down and wept aloud. 

Verse 2 “hung our harps” the word hang in Hebrew word is תָּ֝לִ֗ינוּ (talah). This is an expression used in execution (to hang someone). Harps are instruments used in Israel worship generally to express joy. The singer used this poetic liberty to present a striking scene - they hung their joy because there were no songs left in these captives. 

Verses 3-4 Why wouldn’t they sing? Because the Babylonian (tormentors) have ridiculed the Lord by demanding songs of joy. The songs of joy Miriam sang when the Red sea was split and saved Israelites, or the songs of Moses praise the Triumphant God, the Savior. The songs of victory do not apply to cruel situations of captivity. It was a mockery. The author therefore pledges not to sing the songs of the Lord while in a foreign land, especially not for their amusement. How can we sing the songs of the Lord! (v4).


Stanza 2 (verses 5-6) Faithfulness

Verse 5 “my right hand forget its skill” literally means the musicians could lose their skills to play the harp. The word “skill” does not exist in the Hebrew verse, and it was added to help understand the context. The singer vows that he would never forget God’s holy city, Jerusalem, and even gave a curse upon himself that he would rather lose the ability to play the harp.

Verse 6 “if I do not consider Jerusalem my highest joy” If the singer fails to remember the temple of Jerusalem and the joy of worship, then he would rather live as a mute and lose his ability to sing.


Stanza 3 (veress 7-9) Petition

The author now sings of curses directed at enemies of Israel.

Verse 7 the author directs his words to God, asking Him to remember the people of Edom for their conduct during the fall of Jerusalem. Edom enjoyed the complete destruction of Israel. The “foundation” refers to the temple of God and His governance. The Edomites were a sister-nation to Israel, having descended from Esau, the brother of Jacob. Herod the Great is also a descendant of the Edomites.

Verses 8-9 Babylon in the book of Revelation is called the “harlot” (prostitute). Babyloanians called the nations “mother” and its people “daughters”. The author pleads that the future generations of Babylonia be repaid in the exact same way they dealt with Israel. The author saw the horrible cruelty when the little ones of Jerusalem were dashed against the rocks (v9). 


Let us now reflect on the following two things:

First, do we pledge that we would serve the Lord alone with all our skills and all our might like the psalmist? Even in the midst of cruel captivity, the psalmist firmly clings to God and vows to not forget Him. He worships with his hands, tongue, and mouth. If he forgets, if he does not remember God, he would rather lose his harps and songs. What about us? Don’t we compromise ourselves with the world too easily?


Second, why do we lose the joy of praise? What can we do about it? We lose our joy, our praise, our happiness, and many more when we (1) disobey God and (2) compare our lives with others. When needed, God even leads us into the wilderness to discipline us. Our duty as a child of God is to sing a song of petition!

John Calvin called the Psalms an Anatomy of the soul. We must simply come before the Lord with our anger, distress, curse, iniquity, and so on. This is our Imprecatory Psalms; our songs of curse and petition. If anything leads us to God, it is a blessing nonetheless.


Let us begin today with the Imprecatory Psalm before God who can renew our hearts!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