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스라엘은 이제 말하기를 그들이 내가 어릴 때부터 여러 번 나를 괴롭혔도다
2 그들이 내가 어릴 때부터 여러 번 나를 괴롭혔으나 나를 이기지 못하였도다
3 밭 가는 자들이 내 등을 갈아 그 고랑을 길게 지었도다
4 여호와께서는 의로우사 악인들의 줄을 끊으셨도다
5 무릇 시온을 미워하는 자들은 수치를 당하여 물러갈지어다
6 그들은 지붕의 풀과 같을지어다 그것은 자라기 전에 마르는 것이라
7 이런 것은 베는 자의 손과 묶는 자의 품에 차지 아니하나니
8 지나가는 자들도 여호와의 복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하거나 우리가 여호와의 이름으로 너희에게 축복한다 하지 아니하느니라
시편 129편의 제목은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 입니다.
120편부터 134편이 모두 같은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인데, 그 중에 10번째 노래입니다. 이 중에서 124편은 이스라엘은 이제 말하라 로 시작하여, 125편은 이스라엘에게는 평강이 있을지어다 로 마칩니다. 반대로 128편은 이스라엘은 평강이 있을지로다 로 마치고, 129편은 이스라엘은 이제 말하라 고 시작합니다. 시편을 편집한 편집자들이 내용을 보면서 의도적인 편집을 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플러신학교 Fuller Seminary 구약학 교수로 재직중인 레슬리 알렌 Leslie C. Allen 교수는 시편을 볼 때 일관된 구조를 가지고 살피는 것이 좋다고 설명합니다. 그에 의하면 시편은 신학적인 책입니다. 정확히는 신학적인 성가집(聖歌集)입니다. 또한 시편은 하나님과 신학의 중요성을 가르쳐 주는 지혜서입니다.[1]
그러므로 독자가 시편을 읽을 때는 시인이 어떤 신학을 가지고 하나님을 노래하고 있는지, 삶에서 그 하나님, 그 신학이 우리에게 얼마나 중요한 지를 깨닫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입니다.
그런 차원에서 129편을 보면, 하나님의 백성, 자녀가 고난을 당해왔거나 현재 고난을 당한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하나님은 그들을 괴롭히는 악인을 심판 하실 것이라는 신학의 고백의 노래입니다. 이러한 신학은 시편 전체에 면밀하게 흐르는 신학입니다. 시편의 서문 격인 시편 1편의 주제도 바로 이것입니다.
다윗은 그의 노래에서 하나님의 백성이 당하는 고난에 대한 신학을 다음과 같이 노래합니다.
그는 넘어지나 아주 엎드러지지 아니함은 여호와께서 그의 손으로 붙드심이로다 (시 37:24)
분명히 성도의 삶에도 고난이 있습니다. 그래서 넘어지기도 하고 무릎이 까지기도 하지만, 철퍼덕~ 하고 엎드러져 죽는 일은 없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아빠 손을 꼭 잡고 가는 어린 아이의 모습을 이미지로 표현한 것입니다. 넘어지지만 아빠 손에 매달려 완전히 쓰러지지 않는 자가 하나님의 백성이요, 성도라는 것입니다.
1연 1-4절
시인은 이스라엘에게 이제 말하라고 청합니다. 그들이 내가 어릴 때부터 여러 번 나를 괴롭혔도다(1절) 여기서 그들은 이방 민족입니다. 어릴 때부터는 이스라엘 국가가 형성되는 초기를 의미합니다. 실제로 이스라엘은 민족의 태동 때부터 여러 민족으로부터 고난을 당했습니다. 이집트, 블레셋, 미디안, 앗수르, 바벨론, 바사(페르시아), 헬라(그리스), 로마 등등 끊임없는 다른 민족의 공격과 지배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이 당한 고난을 시적으로 표현한 것이 3절입니다. 마치 밭의 고랑을 깊게 파듯, 지배국들의 강제 노역의 채찍은 이스라엘 민족의 등에 깊은 상처의 고랑을 만들었습니다. 그만큼 그들의 괴롭힘이 컸음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나를 이기지 못하였도다(2b절) 이스라엘을 괴롭힌 적국들은 모두 역사 속으로 사라지거나, 힘이 약해졌지만, 이스라엘은 살아 남았습니다. 시인은 그 원인을 다음과 같이 노래합니다.
여호와는 의로우사 악인들의 줄을 끊으셨도다(4절) 이스라엘이 수많은 국가적 차원의 고난 가운데
살아남을 수 있었던 원인은 바로 의로우신 여호와 יהוה צדיק (야훼 차디크), 곧 언약의 신실하신 하나님 때문입니다. 의로우신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조상들과 세우신 언약을 기억하시고 신실하게 그들을 구원하십니다. 시인은 하나님의 구원을 악인들의 줄을 끊으셨도다 라고 회화적으로 표현합니다.
여기서 줄 עבות (아보트)은 밭을 갈 때 가축을 부리려 묶는 밧줄을 의미하는 것으로, 악인들의 압제나 멍에를 상징하는 표현입니다. 하나님은 지금도 당신의 백성들을 옭아매는 밧줄을 끊으시는 분입니다!
2연 5-8절
시인은 이러한 신학적 확신으로 외칩니다. 시온을 미워하는 자들은 수치를 당하여 물러갈지어다(5절)
시온을 미워하는 자(소네온 치온)라는 표현은 성경에 단 한 번 나오는 표현[2]입니다. 하나님의 백성을 괴롭히고 대적하는 자는 결국 하나님을 미워하고 대적하는 자입니다. 하나님을 미워하고 대적하는 자의 운명은 수치를 당하고 물러나는 길 밖에는 없습니다.
그들은 마치 지붕 위의 잡초와 같습니다. 이스라엘의 주택의 지붕은 평평하여 다양하게 쓰입니다. 가끔 풀과 같은 잡초가 자라는데, 뿌리가 깊지 않으니 오래가지 않습니다. 또한 그것들을 낫으로 베는 자들의 손이나 단으로 묶을 필요도 없을 정도의 미미한 양입니다. 시인은 악인들의 운명이 이와 같은 것임을 노래합니다(6-7절). 이스라엘 사람들은 서로 복을 빌어주면 인사[3]를 했는데, 악인들은 이런 축복을 받을 자격조차 되지 않습니다(8절).
세상에는 언제나 하나님의 백성을 괴롭히는 악인들이 존재합니다.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순간 세상의 모든 고난과 역경을 없애주시겠다고 약속하신 적도 없습니다. 하나님은 모든 고난에서 빗겨가는 것이 아닌 모든 고난과 역경을 너끈히 이겨낼 은혜를 주십니다.
우리가 사방으로 우겨쌈을 당하여도 싸이지 아니하며 답답한 일을 당하여도 낙심하지 아니하며
박해를 받아도 버린 바 되지 아니하며 거꾸러뜨림을 당하여도 망하지 아니하고 (고후 4:8-9)
우리의 삶을 어떤 영적인 사탄의 밧줄이 옭아매고 있습니까?
고통과 당황스러운 상황이 되면 때론 우리는 시편의 신학을 잊습니다.
마치 버림 받은 느낌이 들고 두려운 고아와 같은 마음이 듭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결코 당신의 백성을 버려두시지 않습니다.
하나님께 믿음을 가지고 기도의 자리, 은혜의 자리로 나갑시다!
하나님, 오늘 나와 우리 가족, 비즈니스, 자녀, 삶을 옭아매는 사탄의 밧줄을 끊어주시옵소서!
기도합시다! 결코 대적은 나를 이길 수 없습니다!
[1] 그 말씀, 2008.10월호, 대담 인터뷰 중 [2] 이렇게 성경에 한 번만 등장하는 표현을 하팍스 레고메논(hapax legomenon) 이라고 합니다. [3] 마침 보아스가 베들레헴에서부터 와서 베는 자들에게 이르되 여호와께서 너희와 함께 하시기를 원하노라 하니 그들이 대답하되 여호와께서 당신에게 복 주시기를 원하나이다 하니라 (룻 2:4)
1 “They have greatly oppressed me from my youth,” let Israel say;
2 “they have greatly oppressed me from my youth, but they have not gained the victory over me.
3 Plowmen have plowed my back and made their furrows long.
4 But the LORD is righteous; he has cut me free from the cords of the wicked.”
5 May all who hate Zion be turned back in shame.
6 May they be like grass on the roof, which withers before it can grow;
7 a reaper cannot fill his hands with it, nor one who gathers fill his arms.
8 May those who pass by not say to them, “The blessing of the LORD be on you; we bless you in the name of the LORD.”
Psalm 120 through 134 are a series of 15 themes titled A Song of Ascents, and Psalm 129 is the 10th song. Psalm 124 begins with “let Israel say”, and Psalm 125 ends with “peace be on Israel”. Psalm 128 ends with “peace be on Israel”, and Psalm 129 begins with “let Israel say”. Apparently we can find these verses are edited in similar patterns (rhyme).
Leslie C. Allen is an Old Testament scholar and senior professor at Fuller Theological Seminary's School of Theology. He explains that the book of Psalm should be read and studied in a consistent structure because Psalm is a Theological book. To be exact, it is a book of Divine Choral Music. But not just about music, Psalm also teaches us Wisdom of God and Theology.
Hence, when we read the book of Psalm, it is important to focus on how the author sings about God and His theology, and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applying this faith in our daily lives.
With that in mind, when we look at Psalm 129 again, it is a song of confession about God’s judgment against those who greatly oppressed God's people from their youth. This sort of faithful confession flows steadily within the entire book of Psalm. The main theme of Psalm Chapter 1 begins with the similar confession, and King David sang about the trials of God’s people as follows:
Though he may stumble, he will not fall, for the LORD upholds him with his hand.
(Psalm 37:24)
All believers obviously suffer from hardships. We may stumble and our knees may get hurt, but we will never completely fall and die. We can imagine a young child walking with his father holding hands. Though the child may fall, his father is holding his hand. This is the confession of believers, God’s people.
Stanza 1 (Verses 1-4)
The author asks the Israelites to say “They have greatly oppressed me from my youth” (v1). Here, “they” stands for the Gentiles. “From youth” refers to the beginning of Israel forming as a nation. The Israelites were literally oppressed by the surrounding nations - Egypt, Philistines, Midianites, Assyrians, Babylonians, Persians, Greeks, Romans, and many other nations continuously attacked and oppressed Israel. Verse 3 poetically expresses the trials of Israel, "Plowmen have plowed my back and made their furrows long", the oppressors' scourging left deep scars. The lyric tells us how great and ruthless the oppression was.
"But they have not gained the victory over me" (v2). The oppressors disappeared in history or grew weaker, but the Israelites survived. The author reveals the reason in his song, "But the LORD is righteous; he has cut me free from the cords of the wicked” (v4). The ultimate reason how Israel survived from their national calamities is because the Lord is Righteous צדיק יהוה (Yahweh tsadek), a faithful God keeping His covenant. A righteous God remembered His covenant He made with the fathers of Israel, and faithfully saved them. The author phrases God's salvation as in "cut free from the cords of the wicked". Here, the word "cord" עבות (abot) is a rope used in handling livestock, and it represents oppression or yoke of the wicked. God breaks His people free from the cords of the wicked!
Stanza 2 (Verses 5-8)
The author shouts with faithful assurance, "May all who hate Zion be turned back in shame" (v5). The term 'Haters of Zion' (sane tsiyyon) only appears once in the Bible (Hapax Legomenon). Those who hate and oppose God's people are actually opposing God. They will be turned back in shame. They are like grass on the roof. The roof of Israel house is generally flat and useful in many ways. Occasionally, weeds like grass grow, but since the roots are shallow, they wither quickly. A reaper cannot fill his hands with it, nor one who gathers fill his arms. The author utters this is the fate of all wickedness (v6-7). Israelites greeted each other with "the Lord be with you all" (Ruth 2:4), but the wicked do not even deserve this blessing (v8).
The wicked will always be there to oppress God's people. God has never promised that He would remove all trials and hardships from us if we believed in Jesus Christ. God will give us the Grace so we will not only deflect the trials and troubles, but we would be more than conquerors.
We are hard pressed on every side, but not crushed; perplexed, but not in despair; persecuted, but not abandoned; struck down, but not destroyed
(2 Corinthians 4:8-9)
Are we spiritually bound or tied with the cords of Satan?
When we face pains and embarrassing moments, we easily forget the doctrine of Psalms.
We may worry as though we were forsaken like the fatherless.
But God will not leave or forsake His people.
Let us approach God's throne of grace and prayer with faith!
God, please cut us, our families, businesses, children, our lives free from the cords of Satan!
Let us pray! Our enemy the devil has no victory over u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