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00618 새벽묵상 "그런데, 그러므로, 혹시"/"BUT, THEREFORE, IF" (신/Deut.32:15-36)



(15) 그런데 여수룬이 기름지매 발로 찼도다 네가 살찌고 비대하고 윤택하매 자기를 지으신 하나님을 버리고 자기를 구원하신 반석을 업신여겼도다

(16) 그들이 다른 신으로 그의 질투를 일으키며 가증한 것으로 그의 진노를 격발하였도다

(17) 그들은 하나님께 제사하지 아니하고 귀신들에게 하였으니 곧 그들이 알지 못하던 신들, 근래에 들어온 새로운 신들 너희의 조상들이 두려워하지 아니하던 것들이로다

(18) 너를 낳은 반석을 네가 상관하지 아니하고 너를 내신 하나님을 네가 잊었도다

(19) 그러므로 여호와께서 보시고 미워하셨으니 그 자녀가 그를 격노하게 한 까닭이로다

(20) 그가 말씀하시기를 내가 내 얼굴을 그들에게서 숨겨 그들의 종말이 어떠함을 보리니 그들은 심히 패역한 세대요 진실이 없는 자녀임이로다

(21) 그들이 하나님이 아닌 것으로 내 질투를 일으키며 허무한 것으로 내 진노를 일으켰으니 나도 백성이 아닌 자로 그들에게 시기가 나게 하며 어리석은 민족으로 그들의 분노를 일으키리로다

(22) 그러므로 내 분노의 불이 일어나서 스올의 깊은 곳까지 불사르며 땅과 그 소산을 삼키며 산들의 터도 불타게 하는도다

(23) 내가 재앙을 그들 위에 쌓으며 내 화살이 다할 때까지 그들을 쏘리로다

(24) 그들이 주리므로 쇠약하며 불 같은 더위와 독한 질병에 삼켜질 것이라 내가 들짐승의 이와 티끌에 기는 것의 독을 그들에게 보내리로다

(25) 밖으로는 칼에, 방 안에서는 놀람에 멸망하리니 젊은 남자도 처녀도 백발 노인과 함께 젖 먹는 아이까지 그러하리로다

(26) 내가 그들을 흩어서 사람들 사이에서 그들에 대한 기억이 끊어지게 하리라 하였으나

(27) 혹시 내가 원수를 자극하여 그들의 원수가 잘못 생각할까 걱정하였으니 원수들이 말하기를 우리의 수단이 높으며 여호와가 이 모든 것을 행함이 아니라 할까 염려함이라  신9:28, 시140:8

(28) 그들은 모략이 없는 민족이라 그들 중에 분별력이 없도다

(29) 만일 그들이 지혜가 있어 이것을 깨달았으면 자기들의 종말을 분별하였으리라  시81:13

(30) 그들의 반석이 그들을 팔지 아니하였고 여호와께서 그들을 내주지 아니하셨더라면 어찌 하나가 천을 쫓으며 둘이 만을 도망하게 하였으리요

(31) 진실로 그들의 반석이 우리의 반석과 같지 아니하니 우리의 원수들이 스스로 판단하도다

(32) 이는 그들의 포도나무는 소돔의 포도나무요 고모라의 밭의 소산이라 그들의 포도는 독이 든 포도이니 그 송이는 쓰며

(33) 그들의 포도주는 뱀의 독이요 독사의 맹독이라

(34) 이것이 내게 쌓여 있고 내 곳간에 봉하여 있지 아니한가  욥14:17

(35) 그들이 실족할 그 때에 내가 보복하리라 그들의 환난날이 가까우니 그들에게 닥칠 그 일이 속히 오리로다

(36) 참으로 여호와께서 자기 백성을 판단하시고 그 종들을 불쌍히 여기시리니 곧 그들의 무력함과 갇힌 자나 놓인 자가 없음을 보시는 때에로다


오늘 본문은 모세의 노래가 계속 이어집니다. 한글 성경으로 그런데(15절), 그러므로(19절), 혹시(27절) 3개의 접속사를 기준으로 세 단락으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그런데 이름 값도 못하는 여수룬(15절)

히브리어 원문은 그리고, 그러나 로 번역되는 접속사 וַ (와)로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19절도 마찬가지입니다. 앞선 본문의 내용은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택하시고, 구원하시고, 축복을 주셨다는 것 입니다. 그런데 그러나 입니다. 반전입니다.

여수룬은 이스라엘의 명예로운 이름입니다. 70인역(LXX)은 이것을 사랑 받는 자로 번역했고, 주석가 델리취 Delitzsch의로운 자로 번역했습니다. 한마디로 여수룬이라는 이름은 하나님의 사랑을 받는 의로운 자라는 의미입니다.

모세는 의도적으로 여수룬이라는 거룩하고 귀하고 자랑스러운 이름을 사용합니다. 그 이름과 대비되는 이스라엘의 죄악을 고발하기 위함입니다. 쉽게 표현하면 이름 값도 못한다는 것입니다. 이름은 사랑, 정의, 공의, 거룩인데 삶을 보면 망나니 같은 삶을 사는 셈입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축복을 받았지만, 스스로 그것을 걷어 찼습니다.

그들은 온갖 우상으로 하나님의 질투를 유발했고, 가증한 것(토에바), 곧 구역질 나는 것으로 하나님의 진노를 격발합니다. 이스라엘은 가나안 땅의 귀신(쉐딤)[1]을 섬기며, 이스라엘을 낳은 반석이신 하나님을 잊습니다. 여기서 모세는 산모의 출산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하나님이 얼마나 이스라엘을 사랑하시는지를 이미지화 합니다. 시가서의 특징이고 장점입니다!

예수님을 믿는 자들이 그리스도인(Christian)이라고 불리기 시작한 것은 안디옥교회[2]에서부터 입니다. 한국은 기독교 초기에 기독교인들을 예수쟁이라고 불렸습니다. 크리스천이나 예수쟁이는 처음에는 약간의 조롱이 섞인 호칭이었지만, 후에는 오직 예수밖에 모르는 진실한 사람을 가리키는 영광스럽고 자랑스런 호칭이 됩니다.

후에 크리스천들은 하나님의 많은 축복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하는 그 축복으로 세상의 맛을 알게 되자 순식간에 그 영광스런 이름 값을 못하는 존재가 됩니다. 맛을 잃은 소금이 된 것입니다. 마치 이스라엘, 곧 여수룬과 같은 처지가 된 것입니다.

우리는 이 시대의 여수룬입니다. 하지만 이름 값 못하는 여수룬은 오히려 하나님의 나라의 방해자가 됩니다. 다시 한 번 깊이 고민하고, 거룩한 그 이름값을 회복해야 할 때입니다.

그러므로 심판하시는 하나님(19절)

19절은 15절과 똑같은 접속사로 이어집니다. 한국어로는 그러므로 로 번역했습니다. 하나님 축복하셨지만 거룩하고 의로운 그 이름 값을 못하는 자들은 하나님의 심판을 받습니다. 예수님은 소금과 빛의 비유에서 소금이 그 맛을 잃으면 밖에 버려져 사람들에게 밟힐 뿐이라고 말씀 하셨습니다.[3]

놀랍게도 하나님은 배신한 이스라엘을 여전히 자녀(19절), 히브리어 원문은 자신의 아들과 딸들[4] 이라고 부르신다는 점입니다.

하나님이 아닌 것으로 하나님의 질투를 일으킨 자녀들에게 하나님의 백성이 아닌 자들을 통하여 심판하심으로 하나님의 백성, 자녀들이 시기하고 분노하게 할 것입니다(21절). 똑같이 해주심으로 교훈 하신다는 것입니다.

22-26절은 심판의 내용입니다. 실제로 바벨론 포로로 잡혀간 이들이 자신들의 상황과 이 노래를 부르며 가사를 비교할 때 느꼈을 감정과 고통을 상상해 봅니다. 23절내가 재앙을 그들 위에 쌓으며 내 화살이 다할 때까지 그들을 쏘리로다 라는 표현은 하나님의 심판이 얼마나 큰지를 느끼게 해줍니다.

독한 질병이 일어날 것이고(24절), 밖에는 칼로 방안에서는 놀람으로 멸망합니다. 이 재앙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습니다(25절). 결국 이스라엘을 흩으셔서 사람들의 기억에서 그들이 잊혀질 것입니다(26절).

그러나 대적을 물리치시는 하나님(27절)

우리말 성경은 27절이 혹시 로 시작합니다. 하지만 영어 성경은 But (그러나) 로 시작합니다. 하나님은 당신의 자녀들을 혼내시지만 그러나 영원히 버리시지는 않습니다. 혹시 또는 그러나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심판하시기 위해서 사용하시는 원수, 대적들이 스스로 교만하여 자신들이 무엇인가 잘나서 이스라엘을 이겼다고 착각할 때 하나님은 다시 움직이시기 시작합니다.

그들은 하나님을 깨달을 지혜도 없고 종말을 분별할 능력도 없습니다. 그들은 독(악)이 가득합니다.

그들이 실족할 때, 곧 교만할 때 하나님은 보복하시겠다고 말씀(35절) 하십니다. 비록 하나님의 자녀를 교육하는데 대적들을 사용하셨지만, 결국에는 이방 대적을 심판하시는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의 당신의 백성들을 판단하시고 그 종들을 불쌍히 여기십니다(36절).

판단의 히브리어는 דִ֤ין 인데 재판하다, 심판하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RSV 성경은 변호하다 라고 확대 해석합니다. 충분히 가능한 해석입니다. 또한 불쌍히 여기시다 의 히브리어는 나함 נחם 인데 인간에게 사용할 때는 후회하다, 한숨 쉬다 의 의미로 보통 감정적 회개의 의미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경우에는 동정하다, 불쌍히 여기다 로 해석하는 것이 옳습니다.

하나님은 때로는 우리에게 고난도 주고 악한 자들이 괴롭히도록 내버려 두실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때가 되면 반드시 하나님의 자녀를 괴롭힌 자들을 심판하십니다. 그러므로 현재의 고난은 장차 우리에게 주실 크신 영광과는 결코 비교할 수 없습니다. 바벨론 포로생활의 고달픔 가운데 이 노래를 부르며 자신들의 잘못을 눈물로 회개했을 여수룬, 이스라엘을 생각해 봅니다. 영광스런 이름을 주실 때 그 이름의 가치를 지킵시다! 혹시 고난을 당할 때는 갚아주시는 날을 기다리며 인내합시다!

독생자를 죽이시는 고통으로 우리를 낳으신 하나님은 결코 우리를 잊을 수 없습니다.

여인이 어찌 그 젖 먹는 자식을 잊겠으며 자기 태에서 난 아들을 긍휼히 여기지 않겠느냐

그들은 혹시 잊을지라도 나는 너를 잊지 아니할 것이라 (사 49:15)


[1] 쉐딤(שדים)은 본래 반신반인(demigod)이란 뜻을 지닌 앗수르의 수호신 쉐두(Shedu)에서 온 말입니다. 70인역(LXX)과 불가타역(라틴역)은 귀신(demons)으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2] 바나바가 사울을 찾으러 다소에 가서 만나매 안디옥에 데리고 와서 둘이 교회에 일 년간 모여 있어 큰 무리를 가르쳤고 제자들이 안디옥에서 비로소 그리스도인이라 일컬음을 받게 되었더라 (행 11:25-26) [3]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니 소금이 만일 그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짜게 하리요 후에는 아무 쓸 데 없어 다만 밖에 버려져 사람에게 밟힐 뿐이니라


 

15 Jeshurun grew fat and kicked;

    filled with food, they became heavy and sleek.

   They abandoned the God who made them

    and rejected the Rock their Savior.

16 They made him jealous with their foreign gods

    and angered him with their detestable idols.

17 They sacrificed to false gods, which are not God—

    gods they had not known,

    gods that recently appeared,

    gods your ancestors did not fear.

18 You deserted the Rock, who fathered you;

    you forgot the God who gave you birth.


19 The Lord saw this and rejected them

    because he was angered by his sons and daughters.

20 “I will hide my face from them,” he said,

    “and see what their end will be;

   for they are a perverse generation,

    children who are unfaithful.

21 They made me jealous by what is no god

    and angered me with their worthless idols.

   I will make them envious by those who are not a people;

    I will make them angry by a nation that has no understanding.

22 For a fire will be kindled by my wrath,

    one that burns down to the realm of the dead below.

   It will devour the earth and its harvests

    and set afire the foundations of the mountains.


23 “I will heap calamities on them

    and spend my arrows against them.

24 I will send wasting famine against them,

    consuming pestilence and deadly plague;

   I will send against them the fangs of wild beasts,

    the venom of vipers that glide in the dust.

25 In the street the sword will make them childless;

    in their homes terror will reign.

   The young men and young women will perish,

    the infants and those with gray hair.

26 I said I would scatter them

    and erase their name from human memory,

27 but I dreaded the taunt of the enemy,

    lest the adversary misunderstand

   and say, ‘Our hand has triumphed;

    the Lord has not done all this.’”


28 They are a nation without sense,

    there is no discernment in them.

29 If only they were wise and would understand this

    and discern what their end will be!

30 How could one man chase a thousand,

    or two put ten thousand to flight,

   unless their Rock had sold them,

    unless the Lord had given them up?

31 For their rock is not like our Rock,

    as even our enemies concede.

32 Their vine comes from the vine of Sodom

    and from the fields of Gomorrah.

   Their grapes are filled with poison,

    and their clusters with bitterness.

33 Their wine is the venom of serpents,

    the deadly poison of cobras.

34 “Have I not kept this in reserve

    and sealed it in my vaults?

35 It is mine to avenge; I will repay.

    In due time their foot will slip;

   their day of disaster is near

    and their doom rushes upon them.”


36 The Lord will vindicate his people

    and relent concerning his servants

   when he sees their strength is gone

    and no one is left, slave or free.


The song of Moses continues in today’s scripture. In Korean Bible, these three conjunctions appear: But (v15), Therefore (v19), and If (v27).

But Jeshurun cannot live up to its name (verse 15)

In Hebrew (original) Bible, the word וַ (Waw) means AND and/or BUT. This word appears in verse 19 also. In previous messages, God chose the Israelite, saved them, and blessed them. Then the word “But” appears as a reversal. 

Jeshurun’ is Israel’s honorable name. Septuagint (LXX) translated it as a lovable person and the theologian Delitzsch interpreted it as a righteous one. In short, the name ‘Jeshurun’ means “a righteous one loved by God”. 

Moses purposefully uses this holy and precious name ‘Jeshurun’, in order to accuse the sin of the Israelite. Contrary to its name: love, justice, righteous, and holy, Israelite became like the pagans, not living up to its name. They rejected the blessings of God. 

They made Him jealous with their foreign gods, and angered Him with their detestable idols (Toebah). They sacrificed to false gods (Shedim), and deserted the Rock who fathered them. Here, Moses uses the word "birth" to express the love of God towards His people - the characteristic and benefit of the Poetry writing. 

The believers were first called The Christians in the city (church) of Antioch (Acts 11:25-26). The first Korean believers were mocked by the world and called Jesus-ers in a sarcastic way. Although the names ‘Christian’ or ‘Jesus-ers’ originally brought humiliation, later they became an honorable and proud title to the followers of Jesus. 

Many Christians later received abundant blessings from God. However, instead of giving glory to God, when the believers decided to favor the world, they quickly became corrupted and ruined their names. Israelite could not live up to their name ‘Jeshurun’, as if a salt loses its saltiness. We are the ‘Jeshurun’ of this generation. If Jeshurun cannot live up to its name, it becomes a hindrance to the Kingdom of God. We ought to be in agony and now is the time to recover the true meaning of the holy name.

Therefore God judges (verse 19)

Verse 19 uses the exact same conjunction from verse 15. In Korean Bible, it is translated to THEREFORE. God blessed us to be holy and righteous, however if we cannot live up to its name, we perish. Jesus declared in His teaching, “if the salt loses its saltiness, it is no longer good for anything, except to be thrown out and trampled underfoot” (Matt 5:13). 

Surprisingly, God still calls the unfaithful Israelite His “sons and daughters” (v19). God will repay them by making them envious by those who are not His people, just like the way Israelite made God jealous by serving what is no god (v21). 

Verses 22-26 continue with God’s judgment. We can only imagine the agony and pain of the Israelite when they were exiled to Babylonia, and how they felt as they sang this song during their captivity, I will heap calamities on them and spend my arrows against them” (v23). There will be a wasting famine and deadly plague against them. They will perish by the sword in the street and terror in their homes. No one is exempt (the young men and women, the infants and those with gray hair) (v25). They will be scattered and their names erased from human memory (v26).

But God defeats the enemy (verse 27)

In Korean Bible, verse 27 begins with IF. However, English Bible begins with BUT. God punishes His children, but He will not eternally abandon them. God uses the enemy to punish His people. ‘If’ or ‘But’ when the enemy becomes arrogant and thinks to themselves “we beat the people of God with our power”, then God’s judgment will turn against the enemy. 

They are a nation without sense, there is no discernment in them. They are full of poison (evil). God will avenge and repay them. In due time their foot will slip; their day of disaster is near and their doom rushes upon them (v35). God who uses the enemy to punish His people, will also punish the enemy in due time. 

Because “The Lord will vindicate his people and relent concerning his servants” (v36). 

The word “vindicate” in Hebrew is דִ֤ין (Din) meaning “to judge”. The Revised Standard Bible expands the meaning “to defend”. The word “compassion” in Hebrew is נחם (Nahum) and when this is used toward people, it may refer to “regret” or “moan” - repentance. But from God’s point of view, “compassion” or pity” are the appropriate interpretations. 

Occasionally, God would leave us with trials or does not rescue us from our enemies. But in God’s time, He will judge those who harassed His children. Therefore the present sufferings are not worth comparing with the glory that will be revealed in us (Romans 8:18). Let us ponder on the Israelite, ‘Jeshurun’, who sang this song of Moses and deeply repented of their wrongdoing while they were in captivity to Babylon. Let us keep the glorious name given to us! Are we currently going through any hardship or suffering? Let us wait and persevere for God’s timing! Our God who gave birth to us through the death of His Son will not forsake us.


“Can a mother forget the baby at her breast

    and have no compassion on the child she has borne?

Though she may forget, I will not forget you!

(Isaiah 49:15)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