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명기 14장은 서로 연관 없는 주제들의 집합체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신명기14장은 성도의 삶에 대한 전반적인 규례라고 할 수 있으며, 어떤 학자는 1-2절을 제외하고는 3-29절의 주제는 먹는 것 이라는 큰 주제를 통해 하나로 묶일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1
이러한 관점에서 본문을 보면 어제는 무엇을 먹고 먹지 말아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를 다뤘다면, 오늘은 어떻게 먹을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본문은 분명하게 십일조에 대한 규례를 말합니다. 먹는 것과 십일조가 무슨 상관이 있을까요?
당연히 상관이 있습니다. 농경사회였던 고대 이스라엘은 당연히 농사나 목축을 통하여 먹을 것을 생산했습니다. 그리고 그 생산한 것 중에서 1/10 을 하나님께 십일조로 바친 것입니다.
그러니 십일조와 먹는 것은 결코 무관하지 않으며, 먹는 것은 결국 삶의 전 영역에 대한 대표성을 가집니다.
그런데 요즘 잘못된 신학을 가진 자 중에 하나님께 십일조를 드릴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구약의 율법이 끝났으니, 십일조도 할 필요가 없다는 논리입니다. 구약의 율법 가운데 지키지 않아도 되는 법들2이 있고, 지금도 문화, 시대를 떠나 지켜야 하는 법들3이 있습니다.
그러한 자들의 내면을 깊이 들여다보면 하나님께 드리고 싶지 않다는 것입니다.
내가 버는 물질이 나의 것이라는 착각 속에 빠져 있는 것이지요.
십일조는 하나님이 명령한 거룩한 의무 입니다. 또한 하나님의 축복의 통로입니다.
그리고 그 땅의 십분의 일 곧 그 땅의 곡식이나 나무의 열매는
그 십분의 일은 여호와의 것이니 여호와의 성물이라
(레 27:30)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너희의 온전한 십일조를 창고에 들여 나의 집에 양식이 있게 하고
그것으로 나를 시험하여 내가 하늘 문을 열고 너희에게 복을 쌓을 곳이 없도록 붓지 아니하나 보라
(말 3:10)
말라기3:10 절은 하나님께서 유일하게 당신을 시험하여 보라고 말씀 한 곳입니다.
하나님을 시험할 수 있는 유일한 길! 십일조, 동시에 십일조는 나의 신앙도 시험합니다.
현대는 맘몬(돈)의 노예가 되었습니다. 십일조는 하나님만이 나의 주인이심을 고백하는 행위입니다.
내가 누리는 모든 것의 주인이 내가 아닌 하나님이심을 고백하는 것입니다.
내 것 중에 1/10 을 드리는 것이 아니라, 10 개가 다 하나님 것인데, 그 중 9개는 우리가 다 쓸 수 있게 허락하시고, 나머지 하나를 요구하시는 것입니다. 이것은 하나님이 나의 주인 되심을 실제로 고백하는 중요한 테스트입니다. 마틴 루터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사람은 세 가지 면에서 진정한 회심(回心)을 해야 합니다.
첫째는 머리의 회심이요, 둘째는 가슴의 회심이요, 셋째는 지갑의 회심입니다.
지갑은 성도의 실천적 삶 전체를 가리키는 은유적인 표현입니다. 그러면 우리는 돈을 어떻게 써야 할까요? 본문의 표현으로 바꾸면, 먹을 수 있는 것들을 어떻게 먹어야 할까요?
하나님 앞에서 먹어야 합니다 (26절)
이스라엘은 3개의 십일조가 존재합니다. 물론 성경이 제1, 2, 3 이라고 설명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모세오경 전체를 살펴보고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3 가지의 십일조를 발견합니다.
첫째 십일조는 한 해 농사가 끝나면 모든 소출의 1/10 을 구별하여 자신의 성읍에 있는 레위인을 위하여 하나님께 드리는 일반적인 십일조입니다.
둘째 십일조, 또는 축제 십일조(Festival Tithe)는 오늘 본문 22절에 등장하는 것입니다. 첫째 십일조를 바친 백성들이 나머지 9개 중에서 다시 1/10 을 구별하여 드려, 중앙성소에 모여서 일년에 한 번 감사의 축제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입니다(22-27절). 소산물 대신 돈으로 바꾸어 와서 다시 마음대로 사고 싶은 음식과 술을 사서 함께 축제를 합니다. 이것은 어린 자녀나 여성들에게도 예배의 즐거움을 배우고 누릴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기업 없는 레위인과 거류하는 객, 고아와 과부들이 와서 먹고 배부르게 하라 (29 절)
셋째 십일조(28 절)는 칠년(안식년)을 기준으로 3, 6 번째 해마다 소산의 십분의 일을 각 성읍에 저축하여 그것으로 가난한 자와 나그네, 레위인을 위하여 쓰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은 추가로 십일조를 더 했던 것은 아니고, 둘째 십일조의 사용을 1, 2, 4, 5 년에는 하나님 앞에서 감사 축제로 3, 6 년째에는 축제 대신 구제용으로 사용한 것입니다.4 현대 국가들의 세금과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니까 참 이스라엘 백성은 일년 소출의 2/10 를 하나님께 드린 셈입니다. 전체 임금 20%에 해당하는 그들의 회심한 지갑은 하나님을 위하여, 그리고 가난하고 연약한 이웃을 위하여 사용되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그리하면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 손으로 하는 범사에 네게 복을 주실 것(29 절)입니다.
세금 내 듯 의무적인 십일조가 아닌 자발적인 기쁨의 십일조를 하기 위해서 2가지 믿음이 필요합니다. 하나님이 내 지갑의 주인이시다. 지갑뿐 아니라 나와 내 가족의 삶 전체의 주인이십니다!
내 형편이 어렵든지 넉넉하든지 믿음으로 행하는 자는 하나님께서 책임지십니다.
지갑이 회심한 자에게는 범사에 복을 주신다. 하나님이 주신 것을 하나님께 감사하고, 어려운 이웃에게 나누는 자에게는 하나님께서 더욱 풍성하게 하십니다. 하나님이 먹을 것을 풍성하게 주실 때 욕심쟁이 같이 독식(獨食)하면 COVID 확진자가 아닌 “확~ 찐 자”가 될 수 있습니다.
믿음으로 결단하고 한 발을 내디딜 때 소망의 바다, 기쁨의 바다가 열릴 것입니다!
---------------------
1 먹다 אכל (아칼) 라는 동사와 파생어가 3, 4, 6, 7, 8, 9, 10, 11, 12, 19, 20, 21, 23, 26, 29 절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이와 같은 주장을 뒷받침 합니다. 성도는 가장 기본적인 삶, 먹는 것에서부터 세상 사람들과 구별되어야 합니다.
2 제사법, 의식법과 같은 율법입니다.
3 가장 이해하기 쉬운 것은 십계명입니다. 언제나 누구나 어디서나 영원히 지켜야 하는 율법입니다.
4 안식년에는 모든 땅을 쉬게 하기 위해 농사를 짓지 않아 소산이 없으므로 당연히 십일조도 없습니다.